생각정리91 1. 코드숨 리액트 과정 회고 - 1주차 사내의 프론트엔드 팀원들과 함께 코드숨의 리액트 과정을 수강하게 되었다. 코드숨의 과정은 220만원인데 (부가세포함) 조금 자랑하자면, 사내 복지로 성장지원금(연 180만원)을 지원해서 몇몇 팀원들은 이를 활용했다. 커리어 내내 백엔드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해서 데이터베이스 설정이나 쿼리튜닝, 서버 아키텍처 등을 위주로 해왔다. 내가 그간 해왔던 프론트엔드 개발이라고 해봐야, jQuery -> Backbone.js & Handlebar.js -> Angular 1 -> Vue.js 로 그때그때 필요한 프론트엔트 작업을 했을 뿐이다. 그래서 이 강의를 듣는다고 했을때 주변에서는 "으잉? 왜??" 라는 이야기를 하셨다. 국내에서 프론트엔드의 TDD/클린아키텍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해서 알려주는 강좌가 흔하지.. 2021. 12. 8. 협업도구와 올인원 워크스페이스 최근에 리뷰 하고 있는 오세용님의 협업도구 관련 도서에 나온 내용인데, 내 생각과 거의 흡사해서 내 생각과 함께 정리하게 됐다. (아래는 세용님의 출간 예정 도서의 내용 중 일부이다) 노션은 올인원 워크스페이스를 추구한다. 모든 업무를 이곳 노션에서 하라는 거다. 이를 위해 여러 기능을 제공하고 앞서 소개한 것처럼 훌륭한 도구임은 사실이다. 그런데 정말 이 기능만으로 모든 업무를 진행할 수 있을까? …. 올인원 워크스페이스는 모두를 만족시킨다는 의미와 같다. 이는 모든 사용자에 관한 대부분의 욕구를 해결해 주겠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나와 같은 예민한 사용자도 만족시켜야만 한다. 그게 노션이 추구하는 올인원 워크스페이스가 갖는 한계점이다. 노션은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기능을 대치하는 서비스로 굵직한 서비스.. 2021. 11. 21. 인프런 수습 회고 수습이 진작 끝나, 사내에 작성한 수습 회고글을 블로그에도 옮깁니다. 전직장에서 되게 확실하게 배운게 하나 있는데, 개발팀이 개발만 하면 망한다 였다. 좀 더 풀어나가자면, 회사를 이루는데는 크게 2가지 축이 있다. 문제를 정의하고 찾아내는 축 CEO(를 비롯한 임원진) / 기획 / PM / 영업 / 컨텐츠 등 문제를 해결하는 축 개발 / 마케팅 / 디자인 등 여기서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개발자의 입장에서 개발로만 어떻게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면 비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밖에 없다. 마치 "망치질밖에 모르는 사람은 모든 것이 못으로 보이는 것" 처럼 말이다. 이게 진짜 고객이 원하는 것일까? 이 기능이 진짜 CS 운영자들분들께 필요한 기능일까? 이렇게 기능 추가하는 것보다 더 많은 고객에게 가치를 .. 2021. 11. 2. 자바 공화국 오늘 교보에서 주문한 단위 테스트 책을 받았다. Xunit 테스트 패턴 책 (번역이 나와 맞지 않았다ㅠ) 이후에 테스트와 관련해서는 되게 오랫만에 본 재밌는 책이여서 이건 우리팀 위키에 정리해서 공유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생각으로 최근의 채용 과정을 떠오르게되니 조금 우울해졌다. 과제형 프로젝트를 채용 과제로 삼으면서 많은 분들의 프로젝트 결과물도 보고, 관련해서 면접도 본다. 면접에서 과제에 대한 코드리뷰를 하다보면 지원자분들이 항상 물어보는게 있다. "피드백 주신 그걸 좀 더 깊게 배우려면 어떤 책이나 영상을 보면 되나요?" 이 질문을 항상 받는데, 대답해주기가 애매하다. 왜냐면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좋은 개발 컨텐츠가 Java를 기반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우리 회사는 NodeJS이고, 지원자.. 2021. 10. 24. 일의 마침표 어떤 글을 보면 쉼표로 문장들이 끝없이 계속 이어지는 글이 있고, 마침표로 문장들을 마무리하면서 이어지는 글이 있다. 똑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글이라도 후자가 더 잘 읽히고 읽을 맛이 난다. 마찬가지로 어떤 일을 하는데 있어서도 마침표로 일을 하는 사람들이 좋다. 사람의 컨텍스트는 한계가 있어서 하나의 일을 마무리 못한채 다른일을 또 이어서 하는 사람과는 일을 하기가 어려웠다. 먼저 하는 일을 어떻게 마무리 짓고, 다음 일을 새롭게 시작갈 것인가? 를 고민하는 사람이 좋다. 하나의 업무를 0 or 100으로만 생각해서 설계하는 것 보다는 70, 80에서 마무리지을 수 있도록 설계하고 나가는 사람이 좋다. 추가적인 일이 들어오면 "지금 하는 일 A는 XX로 우회하면 일단 마무리 가능할 것 같다. 그렇게 마.. 2021. 10. 11. 망했을때 어떻게 할 것인가 한참 리그오브레전드 (a.k.a LOL)에 빠진적이 있었다. 그때 Top 신지드에 꽂혀서 주구장창 그것만 했다. 잘 풀리는 판에서는 하드 캐리하는 내 모습에 골드까지는 그냥 갈 줄 알았다. 근데 수백판을 해도 실버를 못벗어 났다. (다 정글탓이다….) 그러다가 갑자기 다음 시즌부터 실버에서 플레티넘까지 티어가 급 상승하게 되었다. 이렇게 된 계기는 모 커뮤니티의 베스트 공략글 때문이였는데, 그 글에서는 망했을때 어떻게 1인분 할 것인가를 아주 중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모든 라인전에서 항상 이길 수는 없다. 그럼 라인전을 지면 게임도 지는 건가? 라고 하면 그건 아니라는 것이다. 망한 판에서 어떻게 복구할 것인가를 아주 상세하게 다룬 그 글을 보고 난 뒤부터 티어가 급 상승하게 되었다. 0/7/0 으로 쫄.. 2021. 9. 12. 이전 1 ··· 3 4 5 6 7 8 9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