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
신뢰 자본
몇달전에 미정님을 만나 짧은 대화 시간을 가졌다. 그간 온라인에서만 뵙다가, (기억상으로는) 처음으로 오프라인으로 뵈었다. 전 직장을 같이 다녔지만 미정님은 베트남에서, 나는 서울에서 근무하다보니 뵙지도 못해봤다. 그래서 이번에 뵐 때 참 반가웠다. 둘 모두 이직을 한지 얼마되지 않은 상태라서 공감가는 이야기를 많이 나눌 수 있었다. 그 중에서 신뢰 자본, 그리고 신뢰 대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새로운 조직으..
2022.07.24
-
1. 테스트하기 좋은 코드 - 테스트하기 어려운 코드
팀 분들과 함께 NextStep - 이펙티브 코틀린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최근에 과제 회고를 처음 진행했는데, 이때 나온 주제가 테스트 하기 좋은 코드였다. 이 주제는 사실 이미 너무 많이 회자된 주제이긴하다. 대표적으로 아래 2개가 가장 대표적이다. 정진욱님 - Testing, Oh my! 권용근님 - 무엇을 테스트할 것인가 이들을 다 보았다면, 굳이 이 글을 볼 필요는 없다. 이미 잘 정리된 글과 영상이지만, 현재 팀의 분들을 위해..
2022.06.11
-
IntelliJ (Kotlin) 매 파일마다 newline 자동으로 추가하기 (feat. EditorConfig)
Github 의 코드리뷰를 보면 다음과 같이 No newline at end of file 메세지를 보여준다 이는 파일 끝에 개행문자(newline)이 없습니다 라는 의미인데, POSIX 기반의 규칙에 기반한다. EOF 가 없으면 컴파일 에러가 나는 상황을 대비한 규칙이다. 요즘 그럴일은 없지만 그래도 의도한대로 파일이 작동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웬만해선 자동으로 규칙을 정해놓고 관리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를 매번 파일 생성때마다 수동으로 계..
2022.06.04
-
현실 세계의 속성에 의존하지 않기
최근에 들었던 질문 중 현실 세계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 기본키로 써도 되냐는 것이 있었다. 이를테면 현실 세계에서 유일함을 보장하는 값들이다. 주민 등록 번호 전화 번호 여권 번호 이들을 데이터베이스의 기본키 (PK) 로 지정해서 쓰는게 어떤가 하는 것이다. 최근의 ORM 예제들을 보면 auto_increment 혹은 uuid 등 개발자가 직접 생성한 기본키을 지정하는데, 왜 그렇게 하는지 모르겠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나 뿐만..
2022.05.31
-
(Kotlin) 단일 함수만 존재하는 경우 파일명은 어떻게 해야할까?
NextStep의 이펙티브 코틀린 with TDD, Refactoring, Clean Code 을 수강중이다. 내가 작성한 코드에 대해 이렇게 많이 리뷰 받는게 오랫만이다 이번에 받은 리뷰중에서는 납득이 잘 안되는게 있어서 리뷰어이신 재성님(Jason) 과 이런저런 토론을 진행했었다. 논의 논의 대상인 코드는 public 함수 하나( main )만 존재하기 때문에 파일명을 main.kt 로 만들었다. 이에 대해 재성님은 소스 파일은 전부 PascalCase를 쓰는게 좋..
2022.05.17
-
Jira Release 발생시 Slack에 Release Notes 발행하기
회사 업무를 진행하다보면 매번 자주 하는 작업 중 하나가, 배포공유이다. 배포가 완료되고, Jira의 티켓들을 Release 하고나면, 어떤 티켓들이 이번에 운영에 배포되었는지를 Slack에 공유하는 것이다. 매번 하는 것이 귀찮으니, 자동화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1. Jira Rule 생성 Jira에는 자동화를 지원하는 기능이 있다. Automation 이라는 기능인데, Jira의 굉장히 많은 기능들을 별도의 앱 없이 자동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2022.05.02
-
WebStorm에서 TypeScript 파일 단독으로 실행하기
WebStorm에서 기본적으로는 TypeScript 파일만 단독으로 실행할 수는 없다. 단독으로 실행이 필요할 경우 JS 파일로 컴파일 후, 실행해야만 한다. Run server-side TypeScript with Node.js 이 과정이 개발의 흐름을 많이 끊기 때문에 일반적인 JavaScript 파일을 실행하듯이 TypeScript 실행 환경이 필요하다. 개선 TypeScript 파일만 단독으로 수행하기 개별 플러그인만 설치하면 가능하다. Run Configuration for TypeScript..
2022.04.26
-
release 브랜치 merge시 Tag 생성, 브랜치 삭제하기 (feat. Gihtub Action)
최근에 상권님의 포스팅을 보고나서 기존 프로젝트의 배포에 대한 추가 자동화를 진행했다. 앱 배포후 Jira에서 버전 Release처리 자동으로 하는 방법(feat. GitHub Action) 상권님의 포스팅에서는 다음과 같이 Github Action 의 자동화를 구성하셨다. Master 브랜치에서 Push가 발생하면 PR Merge 가 되어도 Master 에서는 Push가 발동된다 Merge Commit으로 발생한 커밋 메세지에서 버저닝 번호만 추출해서 Tag로 생성 반면에..
2022.04.23
-
엔지니어의 세심함
제일 싫어하는 개발자의 유형 중 하나가, 개발자가 일을 잘하기 위해서 하나부터 열까지 기획자가 다 챙겨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다. "A ~ Z까지 엣지케이스, 예외 상황 하나도 빠짐없이 다 기획서에 넣어주세요" "아 그건 기획서에 없었으니깐 당연히 안했죠" "그거 자주 잊어먹으니깐 A, B, C에 문서화 해주세요" 등등 엄청 많다. 이걸 병적으로 싫어한다. 엔지니어외 다른 직무는 엔지니어의 서포트 조직이 아니다. 그래서..
2022.04.23
-
CloudFront 모니터링 하기
최근에 AWS의 서울/도쿄 리전에서 CloudFront 장애가 발생했다. (착한 트위터의 세계에서는 실시간으로 공유가 된다) EC2, RDS, ElasticCache에 비해 CloudFront는 모니터링을 잘 안하게 되는데, 장애가 발생하면 서비스 전체에 직격타가 된다. 대부분의 정적 파일 (이미지 등)이 CloudFront를 통한 CDN으로 전달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CloudFront가 평소보다 응답이 늦거나 에러 발생율이 높을때를 알 수 있게 모니터링할 필..
2022.04.17
-
SonarLint와 SonarCloud 연동하기 (WebStorm Plugin)
지난 시간에 프로젝트와 SonarCloud 연동을 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프로젝트와 연결된 SonarCloud를 개발환경인 WebStorm의 SonarLint 플러그인과 연동해서 IDE로 개발 중에도 SonarCloud 검증이 되도록 설정해보겠습니다. 1. 설정 먼저 SonarLint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설치된 SonarLint 플러그인의 설정을 열어봅니다. 아래와 같이 Action 검색 ( CMD + Shift + A ) 을 통해 검색합니다. 다음과 같이 커넥션 연결 화면이..
2022.04.14
-
expect에서 false와 falsy 구분하기
Jest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습관적으로 IDE의 자동완성으로 toBeFalsy 와 toBeTruthy 를 사용하곤 했다. 저 둘이 아닌 toBe(false) 와 toBe(true) 는 한 번의 자동완성으로 안되기 때문에 굳이 사용하진 않았다. 그러다 팀 분의 의견을 받고 더이상 toBeFalsy() 는 사용하진 않고 있다. 물론 이에 맞는 쓰임새가 있겠지만, 모든 결과를 강타입으로 처리하는걸 선호하는 입장에서는 toBeFalsy() 는 선호하기가 어렵다. 다..
2022.04.13
-
단언문 (expect/assert) 안에서 비교하지 않기
간혹 코드를 보면 expect 에서 비교를 하는 코드를 보곤 한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it('getCount의 결과는 5보다 크다', () => { const result = getCount(); expect(result > 5).toBe(true); }); 당장 봐서는 문제가 없어보인다. 오히려 비교값이 더 큰지 검증하는 jest 함수를 별도로 찾아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도 있어보인다. 비슷한 예제로 다음과 같은 코드도 종종 보게 된다. it('getCount의 값은 10과 동일..
2022.04.10
-
SonarCloud를 통한 Node.js & Jest 프로젝트 정적 분석하기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의 코드 퀄리티를 올리기 위해서는 단위 테스트를 비롯해 여러가지 장치를 도입한다. 이때 가장 가성비가 좋은 작업이 정적 코드 분석을 도입하는 것이다. 정적 코드 분석은 코드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코드 스멜, 잠재적인 결함, 컨벤션 체크, 보안 취약점 등을 코드 레벨에서 분석해서 레포팅 해준다. 이런 정적 코드 분석 도구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도구는 SonarQube(소..
2022.04.05
-
어떻게 준비하면 인프랩에 입사할 수 있나요.
아래는 인프랩의 채용 담당자를 통해 전달받은 메일의 답변을 옮긴것입니다. 비슷한 메일이 많이 와서 블로그에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A님. 인프랩 개발팀입니다. :) 퇴근하고나서 이메일 주신 내용을 읽어보고나서 답변을 정리해서 전달드립니다. 먼저 오해를 풀고자 하는데요. 오랫동안 Node.js 백엔드 개발자 채용 공고가 계속 올라가 있는 이유는 원하는 사람의 채용이 안되어서 그런것은 아닙니다 ^^; 저희 같..
2022.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