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각정리142

지향하는 개발 문화 요즘 외부 개발자분과의 채용을 목적으로 한 커피챗을 하다보면 종종 받는 질문 중 하나가 CTO인 내가 지향하는 개발 문화가 무엇인지이다. 배민에 있을때 꽤 많은 팀을 옮겨다녔다. 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팀이 있었는데, 이 팀의 만족도가 굉장히 높았다. 이 시기에는 우리팀이라면 회사의 어떤 문제든 풀 수 있을것 같다는 자신감이 있었다. 여러 기술 부채도 많이 해결했고, 여러 팀과 함께 협업하는 일도 많았다. 팀의 기술 부채 사례를 가지고 사내, 사외 공유도 많이 할 수 있었다. 당시엔 팀의 개발 문화에 대해서 크게 생각하지 않았다. 팀장님도 개발문화에 대한 언급을 그렇게 많이 하지 않으셨고, 가능하면 팀원들과 함께 회사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집중하셨다. 그러니깐, 팀의 개발문화를 위해 어떠한 액션.. 2023. 12. 22.
원 만들어 가기 오늘까지해서 하반기 개발조직 & 프로덕트 조직의 모든 워크샵이 끝났다. 팀의 인원수가 많지 않을때는 개발파트 전체가 한 회의실에 모여서 진행을 했고, 직군별로 어느정도 구성이 되고 나서부터는 같은 시간대에 모여 직군별로 서로 다른 공간에서 워크샵을 각각 진행했다. 개발 파트 전체가 같은 날에 진행하니, 각 직군별 워크샵에 1~2시간씩 정도만 참여할 수 밖에 없어서 내가 적극적인 참여는 하지 못했다. 이번에는 모든 직군의 워크샵에 참여하고 싶었다. 그래서 백엔드, 프론트엔드, 데브옵스 등 직군별로 별도로 일정을 잡고 진행했다. 각 파트별 워크샵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좀 더 체감하고 좀 더 건강하고 유의미한 워크샵 진행을 도와주고 파트별 Action Item이나 고민에 대해 좀 더 회사의 입장에서 도와주거나 .. 2023. 12. 16.
경쟁력 있는 신입 포트폴리오 팀원들의 이력서를 글 하단에 첨부해두었다. 이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한 멤버들에게 관심이 생긴다면 한번 커피챗을 요청해보자. 올해 대학생분들을 멘토링을 종종 했다. 자주 받던 고민이 "어떻게 해야 취업 경쟁력이 생기느냐" 인데, 나는 그럴때마다 아래와 같이 조언을 드렸다. "뭐든 괜찮으니 본인에게 필요한 것을 하나 만들고 실제 출시까지 해보라. CLI, 패키지, 웹, 앱 상관없이 출시를 하고, 100, 1000명의 고객을 만들고, 365/24시간 운영해보면 로그 메세지는 어떻게 남겨야하고, 에러 핸들링은 어떻게 해야하고, 쿼리는 어떻게 작성해야하고, SQL 인잭션, XSS 공격 등을 왜 막아야하고, 한정된 서버 자원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등등을 배우게 된다. 운영하면서 배운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하면 .. 2023. 12. 10.
좋은 피드백 (절벽으로 몰아세우지 않기) 최근 술자리에서 "왜 혹독한 조언 혹은 높은 프레셔 등 개발팀원들의 성장에 대한 강한 피드백을 하지 않느냐" 에 대한 질문을 들었다. 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변을 드렸다. “여러 회사를 거치면서 어떤 것이 진짜 성장인지 명확하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지금 우리 팀에 필요한 것은 대기업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적용하느냐 마느냐가 아니다. 특히 어떠한 한명의 슈퍼맨에 의지해서 조직의 기술력이 높아지는 것 역시 필요하지 않다. 그렇게 해도 팀 전체는 전혀 성장하지 못한 불안한 성장이기 때문이다. 가능하면 다 같이 성장해서 모두가 조직의 졸업까지 이탈자 없는 성장을 바라고 있다.” 만약 현재 우리 팀원들이 제대로 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면, 당연히 피드백을 했을 것이고, 잘못된 방향으로의 성장에 대해서.. 2023. 12. 3.
이기는 팀 경험 아래 글은 오늘 팀 내부에 공유한 글입니다. 팀을 떠난 후에도 다시 볼 일이 있을것 같아 블로그에도 남깁니다. 오늘 추천 받은 영상인데, 그간 저희 인프랩 조직 내에서 계속 이야기하던 주제와 맞물려서 공유드립니다. (전) 구글 인사담당자셨던 황성현님의 인터뷰를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옵니다.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는 펀드 매니저들 중 최고 경영층까지 갔던 사람들의 공통된 특징"을 보니 어렸을때부터 12학년 (고3) 까지 팀 스포츠를 했다는 것인데요. 그냥 만년 후보 선수로 벤치를 지키고 있더라도, Being part of a winning team - 이기는 팀의 맴버였던 경험이 있던 사람이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는 비결이라는 것입니다. 즉, 내가 4번 타자였던게 중요한게 아니라 우리 팀이 1등한게 .. 2023. 11. 23.
[일기] Mild High Club - Homeage 퇴근 후에 깨끗하게 샤워하고 거실 불을 끄고, 테이블 전등만 켠 채로 적당히 늘어지는 음악도 들으면서 코드 작업이나 글 쓰는 시간을 좋아한다. 오늘은 유달리 날이 되게 추운데 바깥 야경이 또렷하게 보였다. 반짝반짝 빛나는 야경은 왜 이렇게 예쁜걸까. 언젠가 이 집을 떠나는 날이 오더라도, 매일 근사한 감동을 주었던 이 밤들을 잊지 못할것 같다. 오늘은 무슨 노래를 들을까 하면서 유튜브를 찾다가 우연히 배우 알렝 드롱의 리즈시절에 관한 쇼츠를 보게 되었다. 여기서 나온 노래가 너무 마음에 드는 것이다. 적당히 늘어지고, 뭔가 7080 같은 느낌도 들고 말이다. 그래서 좀 더 찾아보니 Mild High Club 의 Homeage 란 노래였다. 노래가 너무 몽환적이라서 무슨 가사일까 궁금했다. Someone .. 2023. 11.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