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글623 NHN 엔터테인먼트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 참석 후기 안녕하세요? 어제 NHN Entertainment TOAST팀의 개발 세미나에 다녀왔습니다! 라고 하고 싶지만 ㅠㅠㅠ 2시간 교육인데 1시간 밖에 듣지 못했습니다 ㅠㅠ 경기도 광역 버스 탔다가 신갈에 도착해서 부랴부랴 택시타고 5시에 출발해서 도착하니 7시 30분이네요….(같이 가신 동료분이 라인으로 하신 말씀) 발표장까지 안내해주시던 직원분이 계셨는데, 굉장히 파이팅이 넘치시는 분이셔서 광역버스 2시간 택시 30분 타고 오면서 지친 것이 좀 회복되는 느낌이였습니다. 여튼 도착하고 보니 벌써 첫번째 시간은 끝나고 쉬는 시간이였습니다. 아쉽지만 사진으로 대체를.. 주신 샌드위치와 음료를 마신뒤 본격적으로 2번째 교육이 시작되었습니다. 2. 운영 서비스 오픈은 끝이 아니라 시작 메일 발송 한통 발송은 쉬움 .. 2018. 9. 19. Spring Batch Paging Reader 사용시 같은 조건의 데이터를 읽고 수정할때 문제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Spring Batch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인 같은 조건의 데이터를 읽고 수정할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에 대해서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모든 코드는 Github에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문제 상황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pay라는 테이블에 successStatus가 false인 데이터를 모두 가져와 true로 변환해야 한다고 보겠습니다. 샘플로 사용할 Pay Entity는 다음과 같습니다. import lombok.AccessLevel;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NoArgsConstructor;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 import javax.persi.. 2018. 9. 15. 7. Spring Batch 가이드 - ItemReader 앞의 과정들을 통해 Spring Batch가 Chunk 지향 처리를 하고 있으며 이를 Job과 Step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배웠습니다. Step은 Tasklet 단위로 처리되고, Tasklet 중에서 ChunkOrientedTasklet을 통해 Chunk를 처리하며 이를 구성하는 3 요소로 ItemReader, ItemWriter, ItemProcessor가 있음을 배웠습니다. 즉, ItemReader & ItemWriter & ItemProcessor의 묶음 역시 Tasklet이란 이야기입니다. 이들의 묶음을 ChunkOrientedTasklet에서 관리하기 때문이죠. 이번 시간부터 이 3 요소를 차근차근 배워보겠습니다. 7-1. ItemReader 소개 Spring Batch의 Chunk Taskle.. 2018. 9. 14. 카카오 개발자 컨퍼런스 2018 참석 후기! 카카오가 처음으로 진행한 개발자 컨퍼런스! if kakao 2018에 다녀왔습니다! 네이버에선 Deview라는 컨퍼런스가 없었고, 다음 시절에는 DevOn 이란 공식 컨퍼런스가 있었지만 카카오에선 공식 개발자 컨퍼런스가 없었습니다. 언제 시작하시려나 했는데! 드디어 개최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추첨으로 참석자를 뽑았는데요. 제 주변 분들 중에선 저만 되어서 혼자 다녀왔습니다.발표 장소인 코엑스 그랜드 볼룸이 왔더니 컨퍼런스에 왔음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자 그럼 키노트와 함께 후기를 시작하겠습니다. 0. 키노트 죄송하게도 제가 키노트 연사님의 성함을 멀리 있어 제대로 못들었네요 ㅠㅠ 키노트에선 카카오에서 기술적으로 바라보는 전반적인 관점을 소개 카카오가 바라보는 기술적 관점 4가지와 오늘 세션 안정성 카프카.. 2018. 9. 4. Eclipse의 Workspace와 IntelliJ의 Project 최근 인프런에 강의 영상을 올리고 여러 질문을 받았습니다. 그 중에서 자주 접하는 질문이 바로 Eclipse의 Workspace가 IntelliJ의 Project가 맞는건지에 대한 질문이였습니다. (질문)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 한번 정리를 하고자 합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IntelliJ에는 Workspace 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아래는 IntelliJ 공식 문서에 나와 있는 용어 비교 표입니다.이 표 때문에 오해가 많았을거라 생각합니다. 근데 이 표 위에 적힌 소개 글을 보시면 이야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는 IntelliJ 공식 문서의 글입니다. The first thing you'll notice when launching IntelliJ IDEA is that it ha.. 2018. 9. 1. 서로 다른 계정의 RDS에 대량 데이터 복사하기 다른 계정의 RDS 데이터를 대량으로 복사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스트를 위해 운영 DB의 데이터를 개발 DB로 복사해야하는 등의 일이 될수 있겠죠? 이런 일이 있을때 해결할 수 있는 방법 2가지를 소개합니다. 1. 스냅샷으로 전체 백업하기 RDS간 데이터 복사에 가장 흔한 방법이 스냅샷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여기선 좀 더 현실감 있고, 이해하기 쉽게 운영 RDS의 데이터를 개발 RDS로 복사하는 과정이라고 하겠습니다. 다만 스냅샷은 새로운 DB를 생성할때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DB에 데이터를 넣을때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만약 전체 데이터와 스키마를 이미 생성된 DB에 넣고 싶다면 DB Dump를 사용해보세요. 먼저 운영 RDS의 Snapshots 페이지로 가보겠습니다.대부분의 RDS.. 2018. 8. 30.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 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