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글643

객체지향 좀 더 이해하기 - 블랙잭 게임 구현 (3) 2-3. Dealer 구현 다음 단계로 Dealer를 구현해보겠습니다. Dealer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추가로 카드를 받는다. 단, 2카드의 합계 점수가 16점 이하이면 반드시 1장을 추가로 뽑고, 17점 이상이면 받을 수 없다. 뽑은 카드를 소유한다. 카드를 오픈한다. 이렇게 될 수 있었던 이유는 게임의 승패를 판단하는 것은 Rule 객체가, 카드를 뽑는 것은 카드덱 객체가 맡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위 역할들만 구현해보겠습니다. Dealer에는 Gamer와 달리 16점 이하일 경우에만 추가로 카드를 받을 수 있다는 제한이 있습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각 카드별로 포인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기능은 카드를 뽑을때마다 계산할 수도 있지만, 처음 CardDeck에서 카드를 생.. 2016. 11. 27.
객체지향 좀 더 이해하기 - 블랙잭 게임 구현 (2) 2-2. Gamer 구현 Gamer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추가로 카드를 받는다. 뽑은 카드를 소유한다. 카드를 오픈한다. receiveCard와 cards를 담을 구현체를 생성자에 추가하였습니다. public class Gamer { private List cards; public Gamer() { cards = new ArrayList(); } public void receiveCard(Card card) { this.cards.add(card); } public List openCards(){ return null; } } Gamer의 경우 사용자가 현재 카드들의 총 Point를 보며 카드를 더 뽑을지 말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Gamer는 현재 카드들을 확인 할 수 있어야 합니다... 2016. 11. 27.
객체지향 좀 더 이해하기 - 블랙잭 게임 구현 (1) 순수 Java로 이루어진 프로젝트 객체지향을 이해하는데 있어 게시판은 좋은 예제가 아니라는 자바지기(박재성)님과 OKKY fender님의 이야기로 시작한 프로젝트 Java로 웹을 한다고 하면서 실제로 Java와 객체지향을 공부한적이 없던것 같다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베이스, JSP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Java와 객체에 좀 더 집중할 예정입니다. 모든 코드는 Github에 있으니 전체 코드를 보고싶으시면 참고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Github와 세미나&책 후기를 정리하는 Github 를 star 하시면 실시간으로 feed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제 블랙잭 게임(나무위키 참고)을 개량해서 구현할 예정입니다. 블랙잭 규칙 전부를 구현하는건 지나친 감이 있어서 조금은 스.. 2016. 11. 27.
JetBrains Night 2016 서울 참석 후기! JetBrains Night 서울에 참가하였다! (혹시나 다른 세미나 정보도 알고 싶다면 저의 Github를 star 하시거나, 블로그를 feed 받으시면 됩니다! 꾸준히 세미나 참석하여 후기를 남기고 있습니다.) 페이스북 JetBrains 사용자그룹에서 일정이 올라온 것을 보고 바로 신청을 하였다. zum.com에 합류하고 나서 올해부터는 IntelliJ를 사내 개발 Tool로 열심히 사용중 이였는데 (회사에서 직접 구매해줬다. 1년에 50만원이나 하는...) "어떤 기능이 있는지 알아야 더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라는 생각과 임백준님의 발표도! 있기에 퇴근후 바로 양재역으로 달려갔다. (입구에 들어서면 보이는 간판) (입구의 관계자분들) 참가자 등록을 하려는데 오오옹??? 통역기를 주었다!!.. 2016. 11. 25.
Nginx Cache 문제 해결 시리즈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제가 최근에 zum.com을 운영하면서 실수했었던 내용들 중, Nginx에 관련된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 (Nginx외에도 정말 많은 실수를 했지만 이번엔 Nginx만 하였습니다^^;) 본문 시작전에 간단히 zum.com의 서버구조를 소개드리면, (아주 간단하게 그린 줌닷컴 구조) L4를 Load Balancer로 사용하여 28대의 서버에 균등하게 요청을 분배하고 있습니다. 이때 각 서버는 Nginx와 Tomcat을 함께 가지고 있으며, Nginx를 리버스 프록시 서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리버스 프록시 서버란? 일정 수준 이상의 규모를 가진 웹 서비스에서는 웹 서버(Nginx)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Tomcat)를 분리하여 웹 서버를 프록시 서버로 두어 사용자의 요청을 .. 2016. 11. 8.
GDG Dev Fest Seoul 2016 참석 후기! GDG Dev Fest Seoul 2016 참석 후기 Google Developer Group의 페스티발에 참석했다! (혹시나 다른 세미나 정보도 알고 싶다면 내 Github를 star 하시거나, 블로그를 feed 받으시면 된다! 꾸준히 세미나 참석하여 후기를 남기고 있다.) 이번엔 나혼자가 아닌 많은 우리 회사 분들이 함께 했다. 이전 GDG 행사는 Google 관련 제품소개가 많아서 참석하지 않았는데, 이번엔 너무나 다양항 주제로 진행하기도 했었고, 제일 듣고싶었던 주제가 있어! 참석하였다. 아쉽게도 원티드에서 진행해준 레주메 클리닉은 참여하지 못했다. 다행인건 여태 많은 세미나를 돌아다니면서 알게 된 점은 원티드가 참여한 세미나에선 레주메 클리닉이 다 있었다는 것이다. 혹시나 이직 혹은 취업을 위해.. 2016. 11.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