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44 2. 텔레그램 & AWS 서비스 연동하기 - 2) TravisCI와 S3를 이용하여 정적 데이터 관리하기 최근에 많은 Github 저장소에서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에는 다음과 같은 좋은 저장소들이 있는데요. 국내 개발 블로그 모음 개발 관련 밋업, 세미나 모음 기술 면접 모음 개발자 회고 모음 주니어 개발자 채용 정보 본인이 이런 데이터를 모으고, 이를 Bot으로 안내해주는 서비스를 만든다고 가정하시면 어디에다 이 정보들을 관리할지가 고민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웹 서비스처럼 생각한다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처럼 변경요소가 거의 없고, 조회만 대부분인 상황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쓰기엔 비용이나 시간이 너무 아깝습니다. 그래서 많은 저장소 운영자분들이 json 파일로 정보를 관리하십니다. 예를 들어 제가 운영 중인 주니어 개발자 채용 정보의 경우 채용 정보를 db.. 2018. 6. 15. AWSKRUG #enterprise 소모임 2018.06.11 참석후기 개인적으로 기술 파트였던 1,2 세션은 이미지 위주라 제대로 기록할 수 없었습니다 ㅠㅠㅠ… 다만, 개발자의 길을 얘기해주신 세션3 은 많은 내용을 기록할 수 있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1. AWS Messaging Service(SQS, SNS, SES) 살펴보기 - 이정학님 시스템 구조: storeFront에서 주문이 발생시 Shipping과 Accounting에 각각 Order 전달 이 구조에서는 Shipping 혹은 Accounting이 죽어있다면 StoreFront에서 전달한 데이터는 모두 유실됨 AWS Outage 발생 (March 2, 2018) StoreFront와 Shipping/Accounting 사이에 SNS 를 두는 것으로 해결 가능 SNS 특징 Durable Subscribe 모든.. 2018. 6. 11. AWS Lambda로 Code Deploy 배포 상세 결과 알람 받기 Code Deploy와 다른 CI 툴 (ex: TravisCI)를 조합해서 사용할때 가장 불편한 점은 알람입니다. 저의 경우 TravisCI에서 빌드 & 테스트를 한 뒤에, Code Deploy를 통해 EC2로 배포 하는 구조를 자주 사용합니다. 구축하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 구조에선 배포 실패시 상세한 내용을 받기가 어렵습니다. TravisCI에서는 Code Deploy에서 어떤 사유로 배포가 실패했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항상 배포가 실패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만 알람을 받게 됩니다.알람으로 온 링크를 클릭해서 들어가봐도 알 수 있는 내용은 없습니다.그래서 배포 실패가 나면 항상 Code Deploy 화면으로 직접 이동해서 확인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 과정이 굉장히 불편해서 .. 2018. 5. 30. 3. Jenkins로 Beanstalk + Multi Module 배포하기 - Beanstalk 연동하기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구축한 Jenkins로 Beanstalk을 연동해보겠습니다. 3-1. Beanstalk 생성 서비스에서 Beanstalk을 검색해서 Beanstalk 서비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우측 최상단의 새 어플리케이션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설명을 작성합니다.생성된 어플리케이션에서 환경을 생성합니다. 참고로 어플리케이션이 상위의 그룹입니다. 즉, 어플리케이션 안에 환경이 있습니다. 환경 티어에서는 웹 서버 환경을 선택합니다. 환경의 상세 정보를 등록해야하는데요. 여기서 저는 도메인과 환경 이름을 external-api라고 정했습니다. 이렇게 한 이유는 간단합니다. 이번 주제가 Gradle Multi Module 기반에서 Beanstalk을 어떻게 배포하느냐이기 때문.. 2018. 5. 1. 3) AWS로 배포하기 시리즈 - 3. AWS Code Pipeline으로 배포하기 이번 시간에는 앞서 진행된 Code Deploy, Code Build를 Code Pipeline에서 통합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 드리겠습니다. 모든 코드는 Github에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3-1. Code Pipeline 구축하기 먼저 Code Pipeline 웹콘솔로 이동합니다. 파이프라인 생성버튼을 클릭합니다.Code Pipeline 이름을 등록합니다.소스를 Github에 가져오도록 선택하고, Github에 연결을 클릭합니다.OAuth 리다이렉트가 끝나면 리포지토리와 브랜치를 선택합니다.여기서 고급을 보면 실행 트리거가 2개가 있습니다. master 브랜치에 PUSH 발생시 자동 실행 파이프라인 수동 실행 이번 포스팅에선 수동 실행을 선택하겠습니다. 기존에 등록한 Code Deploy를 선택합니.. 2018. 4. 9. 2) AWS로 배포하기 시리즈 - 2. AWS Code Build로 빌드하기 지난 시간에 Code Deploy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가 등장하기전까지 IDC 환경에선 젠킨스 혹은 TravisCI와 같은 CI Tool에서 Build & Test & Deploy를 다같이 처리했었습니다. 즉, Build & Test가 완료된 WAR/JAR 를 배포 서버로 바로 전송(scp)하여 배포했었습니다. 하지만, AWS와 같이 오토 스케일링이 되는 클라우드 환경에선 트래픽에 따라 갑자기 서버가 늘었다/줄었다 할 수 있기 때문에 배포서버 목록을 고정시키기가 어렵습니다. (물론 AWS CLI에서 서버 리스트를 가져온다던가 할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문제를 Code Deploy를 통해 해결합니다. Code Deploy는 ASG를 대상으로 배포가 가능하기.. 2018. 4. 8. 이전 1 ···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