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 ElasticBeanstalk의 경우 ELB가 자동 생성 및 할당되지만, 이를 ELB 항목에서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ELB를 찾을수 있어야 좀 더 다양한 메트릭과 연결된 인스턴스 상태를 볼수 있기 때문에 혹시 모르셨다면 꼭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이 방법은 EC2를 찾을때도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본문
아래와 같이 ElasticBeanstalk의 Environment 메인화면을 보면 Environment ID가 있습니다.
이 값을 복사하고, Load Balancer 서비스로 이동합니다.
검색창에 env
만 입력하시면, 아래처럼 추천검색어가 나오는데요.
여기서 environment-id
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다음 값에 EB에서 복사한 Environment ID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Enter
를 치시면!
이렇게 ElasticBeanstalk의 ELB가 바로 검색이 됩니다.
반응형
향로 (기억보단 기록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