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재 회사의 개발환경이 STS에서 인텔리J로 변경되어 기존에 STS에서 개발되던 프로젝트들을 전부 옮기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해당과정을 공유하면 좋을것 같아 기록한다.
참고로 이 과정은 http 서버를 사용할 경우이며,
https를 사용해야할 경우 SSL인증서 설치 및 톰캣에서 443 포트 포워딩이 필요하여 해당 과정은 다음에 등록하기로 한다.
1. git에서 프로젝트 Copy
2. copy 한 프로젝트 intelliJ에 import
3. import후, 톰캣설치
- http://tomcat.apache.org/ 에서 프로젝트 환경에 맞는 tomcat 다운로드 및 압축해제
4. 톰캣 환경 설정
4-1) 우측 상단 ▶버튼 좌측에 있는 ▽ 버튼 클릭 -> Edit Configurations.... 클릭
4-2) 설정파일 열리면 + 버튼 눌러 tomcat server 선택
4-3) 실행시킬 톰캣의 이름 지정 및 톰캣위치(3. 에서 다운받은 톰캣 위치) 지정
4-4) 지정한 톰캣에 프로젝트 폴더 deploy
OK 버튼 누르면 설정 끝
5. Maven Build 환경 구축
5-1) maven 의존성 설치 (install task 설정)
- 4-1) 참고하여 아래의 화면으로 이동
5-2) 같은 방식으로 build task 지정 (war파일 생성)
반응형
'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liJ] 커스텀 파일 템플릿 추가하기 (0) | 2017.03.03 |
---|---|
IntelliJ에서 프로젝트별 자동생성 주석 포멧 다르게하기 (1) | 2017.02.06 |
SpringBoot에서 template, static resource 실시간 반영하기 (spring-boot-devtools) (6) | 2016.10.10 |
[Sublime Text] package control 설치 (0) | 2016.01.08 |
[Sublime Text] 빌드 환경 설정 (1) | 2016.01.06 |
IntelliJ에서 Spring+maven 프로젝트 import 및 설정 (http버전) (1) | 2016.01.03 |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