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 Batch

Spring Batch 관리 도구로서의 Jenkins

by 향로 (기억보단 기록을) 2020. 3. 22.
반응형

Spring Batch는 아직까지 확실한 표준 관리 도구가 없습니다.
각 팀/회사마다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하는데요.
대표적인 방법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Cron
  • 클라우드 서버리스
    • 이를테면 AWS의 Lambda 에 배치 코드를 등록하고, AWS CloudWatch에서 스케줄링 실행을 하도록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 API 기반의 직접 만든 관리자 페이지
  • Spring Batch Admin
    • Deprecated 되었습니다.
    • 더이상 개선하지 않겠다고 합니다.
    • Spring Cloud Data Flow 로 전환하라고 합니다.
    • 참고
  • Quartz를 이용한 관리자 페이지
    • Scheduler 역할로 Quartz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UI 대시보드를 직접 만드는 경우입니다.
    • 참고
  • CI 서비스 (Jenkins / Teamcity 등등)

Spring Cloud Data Flow는 아직 실무에서 써보질 않아서 비교대상에 넣질 못했습니다.
하나씩 테스트 중인데 정리가 어느정도 되면 블로그에 공유하겠습니다.

인터넷을 돌아다니다보면 아직까지 Spring Batch Admin 에 대해 언급되거나 직접 어드민 페이지를 만들어 스프링 배치를 관리하는 글을 보게 됩니다.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직접 배치 관리 도구를 만드는 것에 부정적입니다.

파이프라인/여러 SaaS들과의 통합/배포 도중 스케줄링이 겹쳤을때 처리방안 등 직접 구현으로 한계가 명확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스프링 배치 관리도구로 Jenkins를 쓰면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소개하겠습니다.

ps. Spring Cloud Data Flow가 국내에서 좀 더 활성화가 많이 되는 시기가 온다면 그땐 이 글이 필요 없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현재는 Spring Cloud Data Flow가 국내에 활성화가 안된 상태라 그 전까지 참고하시면 좋은 자료라고 생각됩니다.

1. Jenkins?

jenkins

Jenkins는 Java 진영의 대표적인 CI 툴로 대부분의 경우에 배포 용도로 사용됩니다.
그러다보니 배치에서도 Jenkins를 써야된다고 하면 거부감이 들기 마련입니다.

보통 그런 거부감은 배포하는 서비스가 배치를 다룬다라는 것 때문에 생기는데요.

그래서 저 같은 경우 Jenkins 2대를 각각 개별 서버에서 격리되어 관리되도록 구성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ex: 배포 jenkins는 DB에 대한 권한을 제거하고, 배치 jenkins는 배포 권한을 제거하는 등)

deploy

(참고: 배포 Jenkins에서 배치 Jenkins로 Spring Batch 배포하기)

특히 이렇게 별도로 Batch Jar를 실행하는 CI 도구를 사용하게 될 경우 배포와 실행이 개별 과정으로 수행 가능합니다.

즉, 현재 실행중인 스케줄링 작업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 배포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얘기합니다.

(참고: Jenkins에 무중단 배치 배포 구성하기)

자 그럼 본격적으로 Spring Batch의 관리 도구로 Jenkins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2. 장점

먼저 Jenkins의 장점을 소개드리겠습니다.
(여러 장점들이 있지만, 이 중 Spring Batch의 관리 도구로서 체감되는 장점들만 소개드립니다.)

2-1. 기본적인 관리 기능

첫번째 장점은 기본적인 관리 기능의 지원입니다.

관리 도구로서 대표 기능이라고 볼 수 있는 대시보드 / 이력관리 / 로그인 / 계정 권한 관리 등등이 기본으로 지원됩니다.

대시보드

dashboard1

위와 같이 머티리얼 테마가 필요하시면 Simple Theme Plugin plugin 을 설치하시면 됩니다.

Job별 이력

history

Job 상세 내역

특정사용자/파이프라인/다른 Job/스케줄링 중 어떤 방식으로 인해 Job이 시작 되었는지도 볼 수 있습니다.

log1

Job 로그

각 Job 실행별 표준 입출력 역시 대시보드에서 바로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log2

계정 인증

계정의 경우 기본적인 ID/Password를 비롯하여 LDAP, Github 등 여러 인증 방식을 지원합니다.

authentication

(Github OAuth 인증)

권한 관리

Job을 실행할 권한, 보기 권한, 설정 권한 등등도 계정별 혹은 그룹별로 관리가 가능합니다.

authorization

이런 장점들로 인해 얻는 가장 큰 장점은 추가 개발 공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위의 기능이 관리자 페이지의 기본 기능이고 구현상 난이도가 높진 않지만, 어찌됐든 이걸 개발하는데는 공수가 들어갑니다.

서버에서 yum install 명령어만 실행하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굳이 바퀴를 재발명할 필요가 있을까요?

2-2. Integration (통합)

두번째 장점으로 Jenkins의 경우 여러 소프트웨어와의 통합 환경이 잘 구축 되어있습니다.

Email

email

Slack

slack

Github

github1

특히 Github의 경우 Repository 연동 뿐만 아니라 로그인도 OAuth로 연동이 가능합니다.

github2

Logentries

각 Job 실행별로 나눠진 로그들을 Logentries에 모아줄수도 있습니다.

logentries

Logentries 플러그인

ELK

대표적인 로그 수집 모니터링인 ELK 스택에 로그를 보낼수도 있습니다.

elk

Jenkins에 ELK 연동하기

이외에도 다양한 소프트웨어와의 통합환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Docker, Kubernetes, AWS ECS, Ansible 등등)

이런 통합환경을 직접 구현한다고 하면 실제 비지니스를 개발할 시간에 연동 작업만 하지 않을까요?

2-3. 다양한 Job 실행 환경

보통 Spring Batch 작업을 실행하는 방법을 스케줄링에 대해서만 생각을 많이들 하시는데요.

실제로 수십/수백개의 배치 환경에서 수년간 운영/개선을 하다보면 스케줄링만으로는 다 대응할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상황들이 있습니다.

  • 별도의 서비스에서 배치를 실행해야만 할때
    • ex) 챗봇을 통한 실행, 외부 관리자 페이지에서의 실행 등등
  • 스케줄링으로 실행되던 배치를 수동으로 한번 실행해야 할때
    • 매번 스케줄링 시간을 현재시간으로 변경하고, 롤백 등을 하다보면 사고가 날 수도 있겠죠?
  • A Job이 성공하면 B Job이 이어서 실행되고 싶을때
    • 상황에 따라 A와 B가 별도로 각자 개별로도 실행이 되어야만한다면?

Jenkins의 경우 Job을 실행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을 지원합니다.

스케줄링

scheduler

직접 실행

execute

HTTP API

httpapi

기본적인 HTTP API 사용방법

HTTP API의 경우 계정 별로 Token을 관리하기 때문에 해당 Token으로 인증된 요청에 대해서만 허가할 수 있기도 하며, 퇴사한 사용자의 계정은 삭제하여 Token도 막을 수 있습니다.

Job Trigger

현재 Job의 상태에 맞춰 지정된 배치를 후속 실행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trigger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 중 한개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생성된 Job들은 모든 실행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스케줄링으로 등록된 Job을 HTTP API로 실행이 필요할때 별도로 추가 설정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2-4. 풍부한 (국내) 생태계

Java 진영에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소프트웨어이다보니, 관련된 커뮤니티 / 자료 / 플러그인이 활성화가 되어있습니다.

정말 별별 플러그인들이 다 있으며, 국내 개발자분들이 직접 플러그인을 만들어 오픈소스로 공개하기도 합니다.

  • Date Parameter 플러그인
    • Java 8의 LocalDate, LocalDateTime 문법으로 날짜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플러그인
  • Monitoring
    • Jenkins HTTP API 응답시간, 메모리, CPU 등을 모니터링 해주는 플러그인

국내에는 페이스북 등에서 Jenkins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 여러가지 팁과 질문들이 오고가고 있으니, 아무래도 좀 더 활성화되기 쉬울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나 네이버/다음과 같이 국내에서 Java 생태계에서 대규모로 서비스를 운영한 회사들이 많으며, 해당 회사들이 Jenkins를 사용하면서 얻은 노하우들이 많이 있다보니 다른 서비스에 비해 확실한 강점이 있다고 봅니다.

우리 팀이 만든 관리 도구는 우리팀만 알겠죠?.
직접 만든 도구를 사용한다면 어떤 이슈가 발생했을때, 그 도구를 만든 사람 외에는 물어볼 곳이 없는 것도 단점입니다.

비슷한 사례로 사내 프레임워크/플랫폼을 사용할때 해당 서비스의 담당자가 1~2명이라면 해당 담당자 퇴사하면 관리 부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2-5. 파이프라인

Jenkins와 같은 CI도구의 최대 장점이라고 볼 수 있는 파이프라인은 배치 관리 도구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봅니다.

pipeline

파이프라인 덕분에 배치의 설계도 큰 개선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기존엔 아래와 같이 1개의 Job에 N개의 Step을 구성하는데요.

pipeline1

여기서 만약 아래와 같은 요구사항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 Step4만 수행하고 싶다면?
  • Step2, 4만 수행하고 싶다면?
  • Step1만 수행하고 싶다면?

이런 요구 사항을 다 들어줄려면 if문과 Spring Batch Job Flow 로 도배된 코드가 필요합니다.

더 큰 문제는 설계 초기에 이런 조건별 실행이 고려되지 않았을 때입니다.

이럴 경우 해당 Job 코드를 완전히 뜯어 고쳐야하기도 하고, 모든 예외 상황을 검증해봐야 합니다.

하지만 파이프라인이 지원 된다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Job을 최소 단위로 사용하기

파이프라인으로 Job을 묶어주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Step이 아닌 Job을 최소 단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Job과 Step의 1:1 관계로
  • Step만큼 나눠진 Job들은 파이프라인이 Job을 묶어주는 구조로 변경

pipeline2

  • Job1 -> Job2 -> Job3 순차적으로 실행하거나
  • Job1 | Job2 | Job3 이 각자 동시에 수행되게 하거나
  • Job1과 Job2는 병렬로 수행하고 이 2개가 끝나면 Job3이 수행한다거나

위와 같이 여러가지 경우에 대해서 각각의 Job들을 어떻게 실행할지 파이프라인이 결정할 수 있습니다.

어떤 순서로 어떻게 실행할지를 파이프라인이 담당해주니, 배치 Job 코드에서는 딱 본인의 Job 역할에만 충실하면 됩니다.

특히나 기존에 잘 작동되는 배치 코드를 수정하지 않아도 모든 요구사항에 대해 대응이 가능합니다.

Loop 실행

위 케이스외에 이런 케이스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지정된 날짜의 데이터를 가공하는 배치였는데,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한달치를 실행해야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쿼리를 수정해서 Group by코드로 변경하고
  • 지정된 날짜 하나만 받던 Job Parameter를 시작일/종료일 받는 구조로 변경하고
  • 배치에서 수행하는 쿼리문의 where 는 단일 비교(eq)에서 between으로 변경
    • eq에서 범위 검색으로 변경되었으니 인덱스도 검토를 해봐야겠죠?
  • 변경된 배치 코드로 인해 깨진 테스트를 수정하고, 변경된 조건도 잘 되는지 테스트 코드도 추가해야합니다.

하지만 파이프라인이 지원된다면 아래와 같이 반복문으로 날짜를 변경하면서 Job 실행이 가능합니다.

pipeline-loop1

기존 코드를 아예 손대지 않고도 가능합니다.

완성된 배치 코드를 어떻게 조립하고 사용할지 파이프라인에게 위임하니 개발자들은 단일 책임 원칙을 Batch Job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이런 파이프라인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들도 다양하게 지원합니다.

  • Web GUI
  • Web Script
  • 지정된 위치의 Groovy File

개인적인 생각으론 배치 관리 도구로서 파이프라인은 빠질 수 없는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혹시나 안쓰고 계셨던 분들이 계신다면 꼭 한번 배치 구조를 파이프라인 관리 하에 변경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6. Slave Node 환경

Jenkins는 Slave Node 환경 운영/구축이 쉽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대의 Jenkins 서버로 운영중일때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하드웨어 자원 (CPU, Memory)를 많이 사용하는 Batch를 수행중이라면 어떨까요?

이때 다른 Batch들을 수행하기는 어렵습니다.
해당 큰 Batch 작업으로 인해 사용할 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이럴 경우 별도의 Jenkins 서버가 또 있어 거기서 다른 Batch를 수행할 수 있다면 무관하게 실행할 수 있겠죠?

Jenkins에서는 이런 경우를 해결할 수 있는 Master-Slave Node 환경을 지원합니다.

(사실은 분산 빌드를 위한거지만)

slave

공식 문서에서는 분산 빌드 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서버 연결만 SSH로 열려있다면 별도의 Jenkins 설치 없이 Salve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실행 환경 구성은 Master 젠킨스가 처리합니다.)

여분의 서버만 있다면 언제든 Batch Job들을 격리해서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단일 작업을 쪼개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Slave Node 서버가 4개가 있다면, 특정일자를 4등분하여 처리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일자와 Slave Node 서버의 라벨을 이용하여

  • 1번 라벨에서는 0 ~ 6시
  • 2번 라벨에서는 6 ~ 12시
  • 3번 라벨에서는 12 ~ 18시
  • 4번 라벨에서는 18 ~ 24시

등으로 나눠서 처리하는 것이죠.

파이프라인과 마찬가지로 Batch가 분산처리에 대해 전혀 신경쓰지 않게 해주는 고마운 기능중 하나입니다.

물론 좀 더 파워풀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Node and Label parameter가 필수입니다.

3. 단점

Spring Batch 관리 도구로 Jenkins의 여러 장점들을 소개드렸는데요.
이런 장점에 비해 단점도 명확하게 많이 존재합니다.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단점들이 있습니다.

  • 소수의 배치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기엔 과함
    • 2~3개의 배치만 필요한 상황에서는 부담스러운 면이 있습니다.
    • 기존에 사용하던 어드민에서 그냥 배치 코드만 추가하는게 당장엔 공수가 덜 들어가긴 합니다 (추천하진 않습니다.)
  • 빈약한 Web Editor 지원
    • 대부분의 CI 도구들에서는 Web Editor (Shell명령어나 파이프라인 스크립트 작성 에디터)에서 자동 완성, 문법 지원등이 강력하게 지원됩니다.
    • 예로, Teamcity의 경우 WebEditor에서 현재 사용할 수 있는 환경변수/Teamcity에 등록한 전역변수 등을 자동 완성으로 계속 추천해줍니다.
    • Jenkins의 경우 문법 체크/템플릿 외에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 빈약한 실행 이력 관리
    • Job 실행 이력에서 어떤 파라미터를 실행했는지는 이력에선 볼 수 없습니다.
    • 각 실행 화면에 직접 들어가야만 볼 수 있습니다.
    • 검색 기능/페이징 기능도 빈약하여 실행 이력에서 내가 원하는 실행 기록을 찾는게 쉬운일이 아닙니다.
  • 신뢰할 수 없는 플러그인
    • 예를 들어 Docker 관련 플러그인을 검색해보시면 20개가 넘는 결과가 조회 됩니다. (이 중 어떤걸 써야할까요?)
    •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플러그인에 대해 Jenkins가 확실하게 보장하지 않습니다. (다른 CI도구들은 플러그인에 대해 검수가 철저하죠)
    • 특히나 Jenkins 버전업시 사용 못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jenkins_devil

(플러그인 설치했더니, Jenkins 화면에 저런 에러 메세지 보는 경우는 흔한 일입니다.)

  • 플러그인 만들기가 쉬운편이 아닙니다.
    • Jenkins 플러그인 한번 만들어 보신 분들은 공감하실텐데, 진짜 복잡하고 과정이 많습니다.
    • 예전에 jcenter 나오기전에 mavencentral에 라이브러리 등록하는 과정을 떠올려 보시면 됩니다.
    • 다른 CI 도구들이 플러그인 등록 과정을 정말 쉽게 구현한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래도 플러그인 등록하는 분들이 계신걸 보면 존경스럽다는 생각을 합니다.

사실 위 단점들은 이해할 수 있으나, 아래 단점들은 경우에 따라서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3-1. 파일 기반의 설정 정보

  • Jenkins는 Jenkins의 설정 정보를 비롯한, Job 실행 이력, Job 설정 정보등이 전부 파일로 관리됩니다.
  • 그러다보니 설정 정보/실행 이력/현재 Job 정보등이 궁금하면 Jenkins 가 제공하는 API 혹은 서버내에 존재하는 XML파일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jenkins-file

여러분이 웹 서비스를 만들었는데, DB로 데이터를 관리하지 않고, JSON 파일로 데이터를 관리한다고 생각하시면 어떠신가요?

정말 활용할 방법이 제한되지 않을까요.
불가능하진 않겠지만, 제대로 확장성있게 사용하기엔 너무 불편하겠죠?

3-2. 빈약한 검색 기능

  • 위 단점인 "파일 기반의 설정 정보" 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단점1 입니다.
  • 설정들이 다 파일로 되어있으니 검색 기능이 파일 검색 기반입니다.
  • 많이들 사용하시는 소프트웨어인 Jira / Confluence / Logentries 등과 같은 검색 수준을 기대할 수가 없습니다.
    • 위 서비스들 외에 다른 CI도구들에 비해서도 검색 기능이 가장 약합니다.

3-3. 백업 & 이중화의 어려움

  • 위 단점인 "파일 기반의 설정 정보" 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단점2 입니다.
  • 파일 기반으로 구성되다보니 rsync 등으로 백업 서버로 게속 동기화 하지 않는 이상은 주기적으로 외부파일서버/S3/Github등으로 디렉토리 통째로 업로드 하는 방법으로만 백업 해야만 합니다.
  • 실시간 동기화가 아니기도하고, 업로드 실패나면 알람 받고 오류 확인해서 수정하는 등 별도의 공수가 계속 필요합니다

이게 대부분의 CI 도구들이 이렇다면 어쩔수 없겠지만, Jenkins를 제외한 다른 도구들은 보편적으로 이런 정보들을 DB로 관리합니다.

즉, HA가 지원되는 DB가 이미 구성되어있다면 별도로 백업 환경 구성 없이 장애 날 경우에 해당 CI를 설치만 하고 DB 주소 연결만 하면 즉시 복구됩니다.

보통 서비스 운영에 사용되는 DB들은 HA 구성은 기본으로 깔고 시작하니 이건 할게 없는것이나 마찬가지죠.

4. 대안?

Jenkins가 나쁜 도구는 아니지만, 개인 혹은 팀에 따라 위의 단점들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Jenkins의 전체 구조 개편을 기다리기만 할수는 없겠죠.

그래서 저 같은 경우엔 2가지를 대체제로 보고 시험해보고 있습니다.

4-1. Teamcity

teamcity

  • JetBrains의 CI 도구입니다.
  • 파이프라인 / 스케줄링 등 Jenkins가 지원하는 대부분의 기능을 동일하게 지원합니다.
  • Jetbrains 제품군 (IntelliJ, DataGrip, Upsource 등) 과 통합이 정말 잘 지원됩니다.
    • Job 알람에 대해 IntelliJ에서 알람이 보여지는 등
  • 제일 큰 장점은 설정 정보들이 DB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 백업/이중화는 DB만 이루어지면 됩니다.
    • Teamcity는 어디든 설치만해서 바로 DB 연결만 하면 똑같은 Teamcity 환경이 구성됩니다.
    • 여러대의 서버를 운영한다고 해도 스케줄링/설정 등에 대한 관리 요소가 전혀 없습니다.
    • DB에서 다 관리중이니, 각 TeamCity 서버에 대한 동기화 걱정이 없습니다.
    • 당연히 별도의 기능이 필요한 경우 API를 사용해도 되고, 직접 Teamcity 설정 정보를 담고 있는 DB에 Query를 날려서 사용해도 됩니다.

단점

  • Jenkins UI와 사용성에 익숙하신 분들에겐 굉장히 어색합니다.
    • Teamcity와 Jenkins 둘다 처음 접하는 분들은 Teamcity의 UI/UX가 훨씬 더 편하고 친숙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만, Jenkins에서 넘어가시는 분들에겐 굉장히 어색합니다.
  • 일정 규모이상에서는 유료 플랜이 필요합니다.
  • 결국은 CI/CD 도구이다보니 배치쪽으로 발전 방향이 향하고 있진 않습니다.
  • 플러그인 생태계가 Jenkins에 비해 약합니다.
    • 전체 플러그인 수가 10배 이상 차이납니다.
    • 그럼에도 Github 로그인 / 슬랙 연동 등 대부분의 플러그인들은 존재합니다.
    • 현재는 플러그인 생태계를 활성화 하고자 여러 이벤트를 개최하기도 합니다.

4-2. Spring Cloud Data Flow

springclouddataflow

  • Spring에서 공식적으로 밀고 있는 Batch/Data Stream 매니저입니다.
  • Spring에서 대놓고 Batch/Data Stream 매니저로 나온 도구라서 발전 방향이 그쪽으로 명확합니다.
  • Teamcity와 마찬가지로 DB에 여러 설정 정보들을 관리합니다.
    • 별도로 지정하지 않으면 인메모리 DB (H2)를 사용합니다.
  • 오픈소스이다보니 유료 플랜 걱정이 없습니다.

단점

CloudFoundry 혹은 Kubernates 환경이 아니면 제대로 활용하기가 어렵습니다.

  • 일단 저 둘의 환경에서만 스케줄링 기능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즉, 단일 서버에서는 스케줄링 기능을 못 쓴다는 것입니다.
  • 컨셉 자체가 배치가 실행될때만 컨테이너를 별도로 생성해서 실행하고 종료하기 위함이라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없이 사용하려면 굉장히 제한적입니다.

당연히 위 단점으로 인해 허들이 다른 어떤 도구들 보다 높습니다

  • Cloud Native Batch Application 을 위해 나온 서비스라 클라우드를 굉장히 단순하게만 사용하는 그룹에서 사용하기엔 초기 허들이 높습니다.
  • Spring Batch에 대한 공부보다 Kubernates 와 Docker 공부가 우선 되어야할 수도 있습니다.

클라우드가 아닌 IDC 환경에서 단일 서버로만 배치 환경을 구성해서 쓰실 분들은 선택지에서 제외하는게 낫습니다.

  • 단일 서버에 Kubernates 설치하고 그 서버안에서 Docker 생성&삭제를 하도록 하는건 거의 무의미합니다.

국내 자료나 사례가 너무 적습니다.

  • (정상혁님의 제보로) 네이버 계열사 중 사용하는 곳이 있다고 제보 받았는데요.
  • 아직까진 이외에 운영 환경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례를 제보 받은게 없습니다.
  • 그만큼 국내에서 활성화된 도구가 아니며, 관련해서 Hello World 외에는 거의 없습니다.
  • 다른 Batch 관리 도구에 비해 맨땅에 헤딩하시는 일이 굉장히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5. 마무리

직접 배치 관리 도구를 만드시는 분들은 위 장점들을 직접 다 구현할 수 있을지 한번은 고민해보시면 좋습니다.

특히나 파이프라인 기능은 소수의 몇명이 구현하기에는 사이즈가 너무 큽니다.
모든 비용 중에 가장 큰 비용은 인건비입니다.

같은 의견으로 사내 프레임워크 만든다고 하면 저는 거의 실패한다고 생각하고 반대의견을 가집니다.
사내 프레임워크 만들 공수와 인력으로 오픈소스 혹은 전문적으로 매니징 되고 있는 도구를 사용하는게 훨씬 낫다고 봅니다.

어디까지나 저의 개인적인 경험으로 정리한 글이다보니 취향이 많이 반영되었습니다.
이미 팀내에서 잘 사용하고 있는 도구가 있다면, 해당 도구를 적극 사용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하지만 만약 이제 도입 시기이거나 현재 도구에 불만족 하고 계신다면 이 글을 계기로 고민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제가 혹시나 탈 Jenkins를 하게 된다면 그때 또 추가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