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엔 JUnit을 직접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모든 코드는 Github에 있기 때문에 함께 보시면 더 이해하기 쉬우실 것 같습니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Github와 세미나+책 후기를 정리하는 Github, 이 모든 내용을 담고 있는 블로그가 있습니다. )
계기
긴 추석연휴 기간동안 미뤄둔 포스팅 예정 글들을 정리했습니다.
3개를 연달아 처리하고 뭐가 더 남았나 에버노트를 보다가 아주 예전에 메모해놓은 일감이 있었습니다.
바로 나만의 XUnit 만들기입니다.
토비님께서 올리신 글을 보고 일감 등록을 했었던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원분 : 페이스북링크)
일단 회사에서 사용하는 기술들을 익히기에 급급해 계속 미루다가 이제야 다시 봤습니다.
장기간 휴식이 또 언제 생길지 모르니 지금 당장 시작하기로 마음먹고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토비님의 블로그 글을 꼭 읽어보시면 큰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
마침 [번역]JUnit A Cook’s Tour도 있어 참고하며 진행할 예정입니다.
본문
빌드툴은 Gradle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IDE는 IntelliJ 를 사용하는데, 스프링과 같은 웹 개발이 필요한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꼭 유료버전인 Ultimate이 아니더라도 무료 버전인 Community 버전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이클립스 쓰셔도 됩니다)
build.gradle은 로그 관리를 위해 2개의 의존성을 먼저 추가하고 시작하겠습니다.
build.gradle
dependencies {
compile group: 'org.slf4j', name: 'slf4j-api', version: '1.7.25' // log를 위해 slf4j 추가
compile group: 'ch.qos.logback', name: 'logback-classic', version: '1.2.3' // log를 위해 logback 추가
}
혹시나 logback을 처음 접하신다면 소내기님의 logback 튜토리얼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기본적인 디렉토리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src/main/java,resources & src/test/java,resources이며 기본 패키지는 myjunit입니다.
자 그럼 첫번째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1. 첫 테스트 코드
간단하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겠습니다.
src/test/java/myjunit에 TestCaseTest.java
를 생성하고 아래의 코드를 추가하겠습니다.
public class TestCase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TestCaseTest().runTest();
}
public void runTest () {
long sum = 10+10;
Assert.assertTrue(sum == 20);
}
}
현재 JUnit이 의존성으로 등록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Assert 클래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테스트 코드를 수행하기 위해 Assert
클래스와 static Method인 assertTrue
를 생성하겠습니다.
public class Assert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Assert.class);
private Assert() {} // 인스턴스 생성을 막기 위해 기본생성자 private 선언
public static void assertTrue(boolean condition) {
if(!condition){
throw new AssertionFailedError();
}
logger.info("Test Passed");
}
}
slf4j logger가 의존성으로 등록되어있기 때문에 logger는 sfl4j logger를 사용합니다.
assertTrue
는 단순합니다.
파라미터로 넘겨진 boolean 값이 true
이면 Test는 성공이며(logger.info("Test Passed")
), false
하면 throw new AssertionFailedError()
를 발생하여 테스트 실패를 알립니다.
AssertionFailedError
도 존재하지 않는 클래스이니 추가 생성합니다.
public class AssertionFailedError extends Error {
public AssertionFailedError() {}
}
자 이렇게 구성하고 TestCaseTest
의 main 메소드를 다시 실행해보겠습니다.
이렇게 첫번째 테스트가 성공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TestCase
현재 구조는 테스트 프레임워크라고 할수는 없습니다.
결국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 단위로 요청을 나눌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합니다.
이런 의도에 가장 어울리는 것이 커맨드패턴입니다.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를 Command로 보고, 이를 실행하는 것은 run
(보통은 execute
를 사용) 메소드가 담당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해서 만든 TestCase
의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public abstract class TestCase {
protected String testCaseName;
public TestCase(String testCaseName) {
this.testCaseName = testCaseName;
}
public abstract void run();
}
각각의 TestCase는 이름을 가져야 식별가능하기 때문에 생성자에서 이를 받도록 하였습니다.
TestCase
는 그 자체로 사용하기 보다는 이를 상속한 실제 테스트 케이스 클래스들을 사용할것이기 때문에 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
)로 선언하였습니다.
위 TestCase
클래스를 사용하여 TestCaseTest
코드를 수정하겠습니다.
public class TestCaseTest extends TestCase {
public TestCaseTest(String testCaseName) {
super(testCaseName);
}
@Override
public void run() {
try {
Method method = this.getClass().getMethod(super.testCaseName, null);
method.invoke(this, null);
} catch (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public void runTest() {
long sum = 10+10;
Assert.assertTrue(sum == 2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TestCaseTest("runTest").run();
}
}
왜 TestCase의 구현체인 TestCaseTest를 new로 인스턴스 생성해서 써야하는지 의문이실수 있습니다.
각각의 테스트가 독립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모든 테스트 케이스는 새로운 인스턴스에서 수행되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변경한 테스트 코드도 잘 성공되는지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이제는 테스트 케이스 메소드들을 하나만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를 생성하고 실제 main 메소드에선 해당 메소드들의 이름만 추가하면 테스트를 실행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TestCaseTest
에 테스트 메소드를 하나더 추가해보겠습니다.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TestCaseTest.class);
...
@Override
public void run() {
try {
logger.info("{} execute ", testCaseName); // 테스트 케이스들 구별을 위해 name 출력 코드
Method method = this.getClass().getMethod(super.testCaseName, null);
method.invoke(this, null);
} catch (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
public void runTestMinus() {
long minus = 100-10;
Assert.assertTrue(minus == 9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TestCaseTest("runTest").run();
new TestCaseTest("runTestMinus").run();
}
run
메소드에 실행한 테스트 메소드를 확인하기 위해 메소드명을 출력하도록 logger
를 추가하였습니다.
runTestMinus
를 추가하여 main 메소드에서 2개의 테스트 케이스를 실행하는데 파라미터만 변경하면 실행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코드를 실제로 수행해보시면!
테스트가 잘 성공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코드를 보시면서 뭔가 리팩토링 할만한게 보이시지 않나요?
오버라이딩 하고 있는 run
메소드는 TestCase
클래스를 상속하는 모든 하위 클래스들이 다시 구현해야하는데, 실제로 하는 일은 공통으로 뽑아도 무방한 일입니다.
이런 코드는 부모인 TestCase
가 가지는게 좀 더 좋아보입니다.
그래서 run
메소드를 TestCase
로 이동시키겠습니다.
public abstract class TestCase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TestCase.class);
protected String testCaseName;
public TestCase(String testCaseName) {
this.testCaseName = testCaseName;
}
public void run() {
try {
logger.info("{} execute ", testCaseName); // 테스트 케이스들 구별을 위해 name 출력 코드
Method method = this.getClass().getMethod(testCaseName, null);
method.invoke(this, null);
} catch (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
그리고 코드를 리팩토링했으니 다시한번 기존 테스트를 실행해보겠습니다.
TestCaseTest
코드가 대폭 다이어트 되면서도 테스트 코드는 여전히 잘 수행되었습니다.
리팩토링이 잘된거라 볼수있겠죠?
현재까지 상황을 다이어그램으로 표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3. Fixture 메소드
현재까지 제작한 TestCase
클래스와 기존에 사용하던 JUnit 기능를 비교해서 빠진 기능이 뭐가 있을까요?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능은 Fixture
메소드인것 같습니다.
용어가 조금 어려운데 저희가 흔히 사용하는 @Before
, @After
와 같이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들에게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메소드를 얘기합니다.
자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TestCaseTest
를 수정해보겠습니다.
JUnit이였다면 이렇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겠죠?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들 앞/뒤로 혹은 특별한 시점에 공통적으로 코드를 수행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템플릿메소드 패턴은 현재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아주 적절한 디자인패턴입니다.
템플릿 메소드 패턴을 적용하여 TestCase
를 수정해보겠습니다.
public abstract class TestCase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TestCase.class);
protected String testCaseName;
public TestCase(String testCaseName) {
this.testCaseName = testCaseName;
}
public void run(){
before();
runTestCase();
after();
}
protected void before() {}
private void runTestCase() {
try {
logger.info("{} execute ", testCaseName); // 테스트 케이스들 구별을 위해 name 출력 코드
Method method = this.getClass().getMethod(testCaseName, null);
method.invoke(this, null);
} catch (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protected void after() {}
}
JUnit A Cook’s Tour에서는
setup
,tearDown
이라고 표현하지만 여기선 좀더 친숙하게 before, after로 표현하겠습니다.
기존의 run
메소드를 수정하여 before()
-> runTestCase()
-> after()
순으로 실행되도록 구조화시켰습니다.
여기서 before()
와 after()
는 추상메소드가 아닙니다.
일반메소드이지만 구현부분이 없이 생성하였습니다.
추상메소드로 구현할 경우 상속받는 클래스들에선 무조건 오버라이딩 해야하는데, 이들은 강제로 구현해야할 대상은 아니고 선택대상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이에 맞춰 테스트 클래스인 TestCaseTest
코드를 개선하고 다시 테스트를 실행해보겠습니다.
before
메소드가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마다 수행되어 base
변수에 10이 할당되어 테스트가 성공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여기까지 상황을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4. TestResult
자 이제 이번에는 테스트 결과와 관련된 기능을 추가하겠습니다.
테스트 코드를 수행하면 전체 테스트 케이스 몇개가 수행되었으며, 이들중 몇개가 테스트가 실패하고 몇개가 성공했는지 등등의 기능이 제공됩니다.
현재는 이런 테스트 결과에 대한 레포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기능을 추가해보겠습니다.
여러 테스트 메소드들, Fixture 메소드등으로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다 수집하기에 적절한 패턴은 Collecting Parameter 패턴 입니다.
메서드 파라미터에 결과를 수집할 객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예정입니다.
수집할 테스트 결과 객체의 클래스명은 TestResult
로 하겠습니다.
현재 기능은 간단하게 수행된 테스트 개수만 담도록 하겠습니다.
public class TestResult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TestResult.class);
private int runTestCount;
public TestResult() {
this.runTestCount = 0;
}
/**
synchronized: 하나의 TestResult 인스턴스를 여러 테스트 케이스에서 사용하게 될 경우
쓰레드 동기화 문제가 발생하므로 여기선 synchronized로 간단하게 해결합니다.
(테스트 케이스에서만 사용하므로 실시간 성능 이슈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
public synchronized void startTest() {
this.runTestCount++;
}
public void printCount(){
logger.info("Total Test Count: {}", runTestCount);
}
}
startTest
메소드엔 synchronized
를 사용하였습니다.
하나의 TestResult
인스턴스에 테스트 전체 결과에 대한 정보를 담으려면 여러 테스트 케이스가 사용하게되는데, 이때
쓰레드 동기화 문제가 발생하므로 여기선 synchronized로 간단하게 해결하였습니다.
(테스트 케이스에서만 사용하므로 실시간 성능 이슈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자 그러면 이제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이 TestResult를 사용하도록 TestCase
클래스를 수정해보겠습니다.
public abstract class TestCase {
...
public TestResult run(){
TestResult testResult = createTestResult();
run(testResult);
return testResult;
}
public void run(TestResult testResult){
testResult.startTest();
before();
runTestCase();
after();
}
private TestResult createTestResult() {
return new TestResult();
}
...
}
기존에 있던 run()
메소드는 TestResult
를 파라미터로 받아, startTest()
를 실행하는 메소드로 수정하였습니다.
그리고 파라미터 없는 run()
를 다시 생성하여 TestResult
를 자체적으로 인스턴스 생성해서 파라미터 있는 run
메소드를 호출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렇게 되면 어느 테이스 케이스든 run
를 호출할 경우 테스트 count가 1씩 증가하는 것을 체크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럼 TestCaseTest
코드를 다시 수정해서 기능을 확인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TestCaseTest extends TestCase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stResult testResult = new TestResult();
new TestCaseTest("runTest").run(testResult);
new TestCaseTest("runTestMinus").run(testResult);
testResult.printCount();
}
}
main 메소드에서 TestResult
를 생성해서 각각의 테스트케이스에 파라미터로 전달합니다.
이렇게 되면 테스트 케이스가 실행될때마다 카운트가 체크되니 전체 카운트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마지막 printCount
를 통해 미리 선언된 방식으로 레포팅합니다.
printCount를 assertTrue로 검증하지 않는 이유는, 이부분은 검증의 영역이 아닌 레포팅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차후에 본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레포팅 형태롤 변경하면 됩니다.
(ex: HTML, JSON 등등)
이 부분도 나는 테스트 코드로 작성하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getCount와 같은 메소드를 생성하여 검증코드를 추가하셔도 무방합니다.
지금은 간단하게 console로 표현하였습니다.
테스트 결과를 담을 객체도 완성하였습니다!
여기까지를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5. Fail 처리
현재 TestResult에는 큰 단점이 하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일부러 첫번째 테스트 케이스를 실패시켰습니다.
당연하게도 첫번째 테스트 케이스가 실패해서 AssertionFailedError
이 발생하고, 다른 모든 코드가 모두 작동이 중단되었습니다.
앞의 테스트가 실패하는것과 관계없이 다른 테스트케이스들은 모두 실행되어야 합니다.
추가로, 테스트가 실패한 것인지/오류가 발생한것인지도 구분할수 있어야 합니다.
즉, AssertionFailedError
와 다른 Exception들 (ex: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은 구분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estCase
에 try~catch
를 추가하겠습니다.
public abstract class TestCase {
...
public void run(TestResult testResult){
testResult.startTest();
before();
try{
runTestCase();
} catch (InvocationTargetException ite) {
if(isAssertionFailed(ite)){
testResult.addFailure(this);
} else {
testResult.addError(this, ite);
}
} catch (Exception e) {
testResult.addError(this, e);
} finally {
after();
}
}
private boolean isAssertionFailed(InvocationTargetException ite) {
return ite.getTargetException() instanceof AssertionFailedError;
}
...
private void runTestCase() throws NoSuchMethodException, InvocationTarget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
logger.info("{} execute ", testCaseName); // 테스트 케이스들 구별을 위해 name 출력 코드
Method method = this.getClass().getMethod(testCaseName, null);
method.invoke(this, null);
}
...
}
먼저 run
메소드에서 runTestCase()
실행부분을 try
~catch
로 감싸고, catch
에서 InvocationTargetException
과 Exception
을 분리해서 제어합니다.
여기서 InvocationTargetException
은 테스트가 실패했을때를 나타내는데, AssertionFailedError
로 바로 잡지 않은 이유는 method.invoke
때문입니다.
저희가 만든 프레임워크에서 각각의 테스트 메소드 실행은 method.invoke
로 실행되는데 이것때문에 Exception이 발생할 경우 InvocationTargetException
로 랩핑되어 나가기 때문에 run()
메소드에선 진짜 InvocationTargetException
발생한것인지, AssertionFailedError
가 발생했는데 InvocationTargetException
로 랩핑된것인지 알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InvocationTargetException
이 발생했을 경우, 실제 그 안에 있는 Exception이 AssertionFailedError
인지 확인하는 메소드 (isAssertionFailed
)를 추가한것입니다.
그외 다른 Exception에선 모두 Error로 간주하고 처리합니다.
TestCase
코드는 여기까지이며, 이제 TestResult
코드를 수정하겠습니다.
public class TestResult {
...
private List<TestFailure> failures;
private List<TestError> errors;
public TestResult() {
this.runTestCount = 0;
this.failures = new ArrayList<>();
this.errors = new ArrayList<>();
}
...
public synchronized void addFailure(TestCase testCase) {
this.failures.add(new TestFailure(testCase));
}
public synchronized void addError(TestCase testCase, Exception e){
this.errors.add(new TestError(testCase, e));
}
...
public void printCount(){
logger.info("Total Test Count: {}", runTestCount);
logger.info("Total Test Success Count: {}", runTestCount - failures.size() - errors.size());
logger.info("Total Test Failure Count: {}", failures.size());
logger.info("Total Test Error Count: {}", errors.size());
}
}
TestResult
코드의 수정은 간단합니다.
테스트 실패와 오류발생에 대한 처리 메소드들만 추가된 것입니다.
마지막 레포팅 메소드인 printCount
에선 성공한 테스트 수, 실패한 테스트수, 오류가발생한 테스트수를 차례로 Console에 출력시켜줍니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실패를 나타내는 TestFailure
클래스와 테스트 오류를 나타내는 TestError
클래스를 생성하겠습니다.
public class TestFailure {
private TestCase testCase;
public TestFailure(TestCase testCase) {
this.testCase = testCase;
}
public String getTestCaseName() {
return testCase.getTestCaseName();
}
}
public class TestError {
private TestCase testCase;
private Exception exception;
public TestError(TestCase testCase, Exception exception) {
this.testCase = testCase;
this.exception = exception;
}
public String getTestCaseName() {
return testCase.getTestCaseName();
}
public Exception getException() {
return exception;
}
}
TestFailure
는 실패한 테스트케이스만 저장하지만, TestError
는 어떤 Exception이 발생했는지도 알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필드에 추가하였습니다.
자 그럼 이제 실제로 테스트가 잘 수행되는지 확인하겠습니다.
실패한 테스트인 runTest
는 Test Passed
메세지가 노출안되고, 최종 결과물에서 성공한 테스트 수와 실패한 테스트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estResult
는 차후에 필요에 의하면 HtmlTestResult
, JsonTestResult
등으로 확장할 수도 있으며, 출력시킬 데이터 형태도 단순 count 외에도 여러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습니다.
6. TestSuite
지금까지 저희는 개별 테스트만 수행했습니다.
실제 Main 메소드에서는 각각의 TestCase
가 한묶음의 테스트인지, 개별 테스트인지 전혀 구분할 수 없습니다.
그냥 개별적으로 실행된것일 뿐입니다.
하지만 좀 더 견고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려면 테스트들을 그룹화 하고 그룹단위로 실행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그래서 TestCase
를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선해볼 예정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개별 테스트케이스 단위로도 테스트는 수행할 수 있어야하며 그룹 단위로도 수행될수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룹과 개별은 단위가 다른데 어떻게 하면 같은 인터페이스로 관리할 수 있을까요?
바로 Composite 패턴입니다.
Composite 패턴의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 Component: 테스트와 상호작용하는데 사용할 인터페이스
- Composite: Componen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Leaf의 컬렉션을 관리
- Leaf: Component 인터페이스를 따르는 자식 (여기선
TestCase
)
자바에서 Composite을 적용할 때는 추상 클래스가 아닌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Composite와 Leaf는 특정 클래스를 따르지 않아도 되고 그저 인터페이스를 따르기만 하면 됩니다.
자 그럼 Composite 패턴의 Component(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Test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겠습니다.
public interface Test {
void run(TestResult result);
}
제일 처음 도입한 패턴이 기억나시나요?
Command 패턴을 도입하면서 이 프로젝트의 command는 run()
라고 얘기했습니다.
마찬가지로 Composite 패턴의 Component에서 가질 메소드도 오직 run()
만 있으면 됩니다.
이외 다른 메소드들은 인터페이스를 구분 지을 단위가 될만큼 중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자 그럼 이제 Composite 패턴의 Composite역할이자, 각각의 TestCase
를 관리할 클래스를 생성하겠습니다.
해당 클래스의 이름은 TestSuite
라 하겠습니다.
public class TestSuite implements Test {
private List<TestCase> testCases = new ArrayList<>();
@Override
public void run(TestResult result) {
for (TestCase testCase : this.testCases) {
testCase.run(result);
}
}
public void addTestCase(TestCase testCase) {
this.testCases.add(testCase);
}
}
간단한 코드이지만, Te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run(TestResult result)
메소드에선 Leaf 역할은 TestCase
에게 위임한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외부의 클라이언트는 Test
인터페이스 스펙만으로 TestCase
, TestSuite
를 모두 다룰수 있게 됩니다.
추가로 TestSuite
에서 TestCase
를 추가할 수 있도록 addTestCase
를 public
으로 생성하였습니다.
동일한 인터페이스 스펙을 갖추기 위해 TestCase
도 Test
인터페이스를 구현(implements
) 하도록 수정하겠습니다.
public abstract class TestCase implements Test {
....
}
그럼 이제 테스트 코드를 TestSuite
단위로 변경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TestCaseTest extends TestCase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stSuite testSuite = new TestSuite();
testSuite.addTestCase(new TestCaseTest("runTest"));
testSuite.addTestCase(new TestCaseTest("runTestMinus"));
TestResult testResult = new TestResult();
testSuite.run(testResult);
testResult.printCount();
}
}
기존에 따로놀던 TestCase
코드들이 TestSuite
안에 포함되어 관리되고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코드에선 동일한 테스트 클래스인
TestCaseTest
가 2번 호출되고 있습니다.
좀 더 개선한다면 TestCase 구현 클래스들 내부에서 테스트 메소드들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실행하도록 할수도 있겠죠?
여기선 범위가 과하단 생각에 기존 코드를 살려두었습니다.
현재까지를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7. 정리
여기까지 오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저희가 만든 JUnit 프레임워크의 전체 다이어그램이 아래와 같이 확장되었습니다.
여기서 PluggableSelector & Adapter 패턴은 초반에 생성한 Method.invoke 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간단한 부분이라 초반에 생략하고 지나갔는데 좀 더 자세히 보고 싶으시다면 [번역]JUnit A Cook’s Tour 의 3.4 챕터를 보시면 됩니다.
굉장히 많은 패턴이 적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저희가 기존에 객체지향적으로 코딩하기 위해 한번씩 고민해보고 해결한 방식이여서 크게 이해하는데 어렵지 않았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아래와 같이 차근차근 패턴을 적용하면서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스토리보드)
이후에도 기능 추가가 필요하다면 과감하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기준이 되는 테스트 코드들이 이미 존재하고, 각각의 모듈들이 별도로 분리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제가 한게 진짜 제대로 된것인지는 저도 잘모르겠습니다^^;
다만 좀 더 객체지향과 디자인패턴을 이해하는데 이 방식이 정말 큰 도움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꼭 시간이 되신다면 직접 JUnit을 만들어보셨으면 합니다.
기나긴 연휴가 슬슬 마무리 되어가는데, 다들 잘 마무리하시길 바랍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