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엔 JPA의 N+1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모든 코드는 Github에 있기 때문에 함께 보시면 더 이해하기 쉬우실 것 같습니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Github와 세미나+책 후기를 정리하는 Github, 이 모든 내용을 담고 있는 블로그가 있습니다. )
본문
JPA를 사용하면 자주 만나게 되는 것이 N+1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구조에서 Academy를 호출하여 그 안에 속한 Subject를 사용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간단하게 이들의 관계를 코드로 표현하겠습니다.
(lombok을 사용하였습니다.)
@Entity
@G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Academy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cascade = CascadeType.ALL)
@JoinColumn(name="academy_id")
private List<Subject> subjects = new ArrayList<>();
@Builder
public Academy(String name, List<Subject> subjects) {
this.name = name;
if(subjects != null){
this.subjects = subjects;
}
}
public void addSubject(Subject subject){
this.subjects.add(subject);
subject.updateAcademy(this);
}
}
@Entity
@G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ubject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academy_id", foreignKey = @ForeignKey(name = "FK_SUBJECT_ACADEMY"))
private Academy academy;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teacher_id", foreignKey = @ForeignKey(name = "FK_SUBJECT_TEACHER"))
private Teacher teacher;
@Builder
public Subject(String name, Academy academy, Teacher teacher) {
this.name = name;
this.academy = academy;
this.teacher = teacher;
}
public void updateAcademy(Academy academy){
this.academy = academy;
}
}
@Entity
@G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each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Teacher(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Service
@Slf4j
public class AcademyService {
private AcademyRepository academyRepository;
public AcademyService(AcademyRepository academyRepository) {
this.academyRepository = academyRepository;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List<String> findAllSubjectNames(){
return extractSubjectNames(academyRepository.findAll());
}
/**
* Lazy Load를 수행하기 위해 메소드를 별도로 생성
*/
private List<String> extractSubjectNames(List<Academy> academies){
log.info(">>>>>>>>[모든 과목을 추출한다]<<<<<<<<<");
log.info("Academy Size : {}", academies.size());
return academies.stream()
.map(a -> a.getSubjects().get(0).getName())
.collect(Collectors.toList());
}
}
여기서 서비스의 findAllSubjectNames
를 호출하면 어떤일이 발생할까요?
간단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쿼리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AcademyServiceTest {
@Autowired
private AcademyRepository academyRepository;
@Autowired
private AcademyService academyService;
@After
public void cleanAll() {
academyRepository.deleteAll();
}
@Before
public void setup() {
List<Academy> academies = new ArrayList<>();
for(int i=0;i<10;i++){
Academy academy = Academy.builder()
.name("강남스쿨"+i)
.build();
academy.addSubject(Subject.builder().name("자바웹개발" + i).build());
academies.add(academy);
}
academyRepository.save(academies);
}
@Test
public void Academy여러개를_조회시_Subject가_N1_쿼리가발생한다() throws Exception {
//given
List<String> subjectNames = academyService.findAllSubjectNames();
//then
assertThat(subjectNames.size(), is(10));
}
}
위 테스트 코드를 실행해보면! 아래와 같이 academy 전체 조회하는 쿼리와 각각의 Academy가 본인들의 subject를 조회하는 쿼리 10개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 + 1 쿼리!)
이렇게 하위 엔티티들을 첫 쿼리 실행시 한번에 가져오지 않고, Lazy Loading으로 필요한 곳에서 사용되어 쿼리가 실행될때 발생하는 문제가 N+1 쿼리 문제입니다.
지금은 Academy가 10개이니 첫조회(1) + 10개의 Academy의 subject 조회(10) = 11 밖에 발생하지 않았지만, 만약 Academy 조회 결과가 10만개면 어떻게 될까요?
한번의 서비스 로직 실행에서 DB 조회가 10만번 일어난다는건 말이 안되지 않을까요?
그래서 이렇게 연관관계가 맺어진 Entity를 한번에 가져오기 위해 몇가지 방법들이 있습니다.
1. Join Fetch
1번째는 join fetch
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
* 1. join fetch를 통한 조회
*/
@Query("select a from Academy a join fetch a.subjects")
List<Academy> findAllJoinFetch();
조회시 바로 가져오고 싶은 Entity 필드를 지정 (join fetch a.subjects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바꾼후 테스트 코드를 실행해보겠습니다.
이렇게 1줄만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만약 Subject의 하위 Entity까지 한번에 가져와야 할때도 아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 5. Academy+Subject+Teacher를 join fetch로 조회
*/
@Query("select a from Academy a join fetch a.subjects s join fetch s.teacher")
List<Academy> findAllWithTeacher();
a.subjects
를 s
로 alias하여 s의 teacher
를 join fetch
하면 한번에 가져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위의 하위 Entity 까지 아주 쉽게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단, 이 방법은 불필요한 쿼리문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필드는 Eager 조회, 저 필드는 Lazy 조회를 해야한다까지 쿼리에서 표현하는 것은 불필요하다라고 생각하실 분들이 계실것 같습니다.
그런 분들은 다음의 방법을 사용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2. @EntityGraph
2번째 방법은 @EntityGraph
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
* 2. @EntityGraph
*/
@EntityGraph(attributePaths = "subjects")
@Query("select a from Academy a")
List<Academy> findAllEntityGraph();
@EntityGraph
의 attributePaths
에 쿼리 수행시 바로 가져올 필드명을 지정하면 Lazy가 아닌 Eager 조회로 가져오게 됩니다.
보시는 것처럼 원본 쿼리의 손상 없이 (select a from Academy a
) Eager/Lazy 필드를 정의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추가로 Teacher까지 한번에 가져오는 쿼리도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 6. Academy+Subject+Teacher를 @EntityGraph 로 조회
*/
@EntityGraph(attributePaths = {"subjects", "subjects.teacher"})
@Query("select a from Academy a")
List<Academy> findAllEntityGraphWithTeacher();
사용시 주의사항?
join fetch
와 @EntityGraph
사용시 출력되는 쿼리를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Join Fetch
SELECT academy0_.id AS id1_0_0_,
subjects1_.id AS id1_1_1_,
academy0_.name AS name2_0_0_,
subjects1_.academy_id AS academy_3_1_1_,
subjects1_.name AS name2_1_1_,
subjects1_.teacher_id AS teacher_4_1_1_,
subjects1_.academy_id AS academy_3_1_0__,
subjects1_.id AS id1_1_0__
FROM academy academy0_
INNER JOIN subject subjects1_
ON academy0_.id = subjects1_.academy_id
@Entity Graph
SELECT academy0_.id AS id1_0_0_,
subjects1_.id AS id1_1_1_,
academy0_.name AS name2_0_0_,
subjects1_.academy_id AS academy_3_1_1_,
subjects1_.name AS name2_1_1_,
subjects1_.teacher_id AS teacher_4_1_1_,
subjects1_.academy_id AS academy_3_1_0__,
subjects1_.id AS id1_1_0__
FROM academy academy0_
LEFT OUTER JOIN subject subjects1_
ON academy0_.id = subjects1_.academy_id
JoinFetch는 Inner Join, Entity Graph는 Outer Join이라는 차이점이 있음을 주의해주세요.
공통적으로 카테시안 곱(Cartesian Product)이 발생하여 Subject의 수만큼 Academy가 중복 발생하게 됩니다.
확인을 위해 테스트 코드를 추가해보겠습니다.
@Before
public void setup() {
List<Academy> academies = new ArrayList<>();
for(int i=0;i<10;i++){
Academy academy = Academy.builder()
.name("강남스쿨"+i)
.build();
academy.addSubject(Subject.builder().name("자바웹개발" + i).build());
academy.addSubject(Subject.builder().name("파이썬자동화" + i).build()); // Subject를 추가
academies.add(academy);
}
academyRepository.save(academies);
}
@Test
public void Academy여러개를_joinFetch로_가져온다() throws Exception {
//given
List<Academy> academies = academyRepository.findAllJoinFetch();
List<String> subjectNames = academyService.findAllSubjectNamesByJoinFetch();
//then
assertThat(academies.size(), is(20)); // 20개가 조회!?
assertThat(subjectNames.size(), is(20)); // 20개가 조회!?
}
subject를 추가한 뒤, 테스트 결과를 확인해보면!
10개의 Academy가 아닌, 20개의 Academy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결방안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일대다 필드의 타입을 Set
으로 선언하는 것입니다.
(Set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자료구조이기 때문에 중복등록이 되지 않습니다.)
@OneToMany(cascade = CascadeType.ALL)
@JoinColumn(name="academy_id")
private Set<Subject> subjects = new LinkedHashSet<>();
(Set이 순서가 보장되지 않기에 LinkedHashSet을 사용하여 순서를 보장합니다.)
2번째 방법은 distinct
를 사용하여 중복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Set보다는 List가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신다면)
이 부분은 @Query
에서 적용하는 것이니 join fetch
, @EntityGraph
모두 동일합니다.
@Query("select DISTINCT a from Academy a join fetch a.subjects s join fetch s.teacher")
List<Academy> findAllWithTeacher();
@EntityGraph(attributePaths = {"subjects", "subjects.teacher"})
@Query("select DISTINCT a from Academy a")
List<Academy> findAllEntityGraphWithTeacher();
2방법 중 현재 프로젝트 상황에 맞춰 골라 사용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NamedEntityGraphs?
보통 N+1 문제 해결을 얘기할때 @NamedEntityGraphs
가 예시로 많이 등장합니다.
@NamedEntityGraphs
의 경우 Entity에 관련해서 모든 설정 코드를 추가해야하는데, 개인적으론 Entity가 해야하는 책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A 로직에서는 Fetch전략을 어떻게 가져가야 한다는 것은 해당 로직의 책임이지, Entity의 책임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Entity에선 실제 도메인에 관련 된 코드만 작성하고,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Fetch 전략을 가져가는 것은 전적으로 서비스/레파지토리에서 결정해야하는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2개이상 자식 테이블에 Join Fetch 하고싶을땐?
관련해서 별도의 포스팅으로 정리를 했으니 참고해보세요.
마무리
JPA의 N+1 문제에 대해 간단하게나마 설명드렸습니다.
아직까지는 위에서 소개한 내용에서 크게 벗어난 문제를 만나지 못했지만, 혹시나 다른 문제와 해결방안이 발견될 경우 추가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부족한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