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엔 유효성 체크(이하 validation) 공통 모듈 생성하는 예제를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모든 코드는 Github에 있기 때문에 함께 보시면 더 이해하기 쉬우실 것 같습니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Github와 세미나+책 후기를 정리하는 Github, 이 모든 내용을 담고 있는 블로그가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회원 가입 양식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대부분의 입력 양식처럼 위 양식도 등록시 몇가지 조건들이 있습니다.
- 이름/휴대폰번호/이메일은 필수값입니다.
- 휴대폰번호는 10자리 혹은 11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 이메일은 이메일 양식을 지켜야한다 (xxx@xxx)
- 이메일은 중복 등록 할 수 없다.
이 조건들을 체크하기 위해서 많은 분들이 하는 방법중 하나가 jquery validate 등을 이용한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체크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validation을 하게 될 경우 얼마든지 브라우저에서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validation을 무효화해서 잘못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체크는 백엔드에서 필수적으로 하게 되는데, 이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 Validation 어노테이션들입니다.
위 조건을 만족하도록 간단하게 프로젝트를 구성해보겠습니다.
코드
예제코드에 앞서서 좀 더 실제 프로젝트와 유사하게 맞추기 위해 조건을 추가하겠습니다.
- 휴대폰 번호는 입력 받을때는 숫자만 입력 받는다.
- 휴대폰 번호를 DB 저장시에는 조건 검색이 가능하도록 3개 컬럼에 나눠서 저장한다. (ex: 컬럼1: 010, 컬럼2: 1234, 컬럼3: 5678)
- 휴대폰 번호 출력시에는 - 문자가 포함되야 한다 (ex: 010-1234-5678)
그럼 이제 추가 조건까지 포함해서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먼저 프로젝트 의존성 관리를 위해 build.gradle을 아래와 같이 추가하였습니다.
build.gradle
buildscript {
ext {
springBootVersion = '1.5.1.RELEASE'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classpath("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springBootVersion}")
}
}
apply plugin: 'java'
apply plugin: 'eclipse'
apply plugin: 'org.springframework.boot'
jar {
baseName = 'spring-validation'
version = '0.0.1-SNAPSHOT'
}
sourceCompatibility = 1.8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runtime('com.h2database:h2')
test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이외 추가 설정은 없기 때문에 바로 자바 코드로 넘어가겠습니다.
Member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nam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phone1;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phone2;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phone3;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email;
public Member() {}
public Member(String name, String phone1, String phone2, String phone3, String email) {
this.name = name;
this.phone1 = phone1;
this.phone2 = phone2;
this.phone3 = phone3;
this.email = email;
}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String getPhone1() {
return phone1;
}
public String getPhone2() {
return phone2;
}
public String getPhone3() {
return phone3;
}
public String getEmail() {
return email;
}
}
MemberRequestDto
public class MemberRequestDto {
private Long id;
@NotBlank(message = "이름을 작성해주세요.")
private String name;
@NotBlank(message = "전화번호를 작성해주세요.")
@Pattern(regexp = "[0-9]{10,11}", message = "10~11자리의 숫자만 입력가능합니다")
private String phoneNumber;
@NotBlank(message = "메일을 작성해주세요.")
@Email(message = "메일의 양식을 지켜주세요.")
private String email;
public MemberRequestDto() {}
public Member toEntity(){
String[] phones = parsePhone();
return new Member(name, phones[0], phones[1], phones[2], email);
}
private String[] parsePhone(){
String[] phones = new String[3];
int mid = phoneNumber.length() == 10? 7:8;
phones[0] = phoneNumber.substring(0,3);
phones[1] = phoneNumber.substring(4,mid);
phones[2] = phoneNumber.substring(mid,phoneNumber.length()-1);
return phones;
}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String getPhoneNumber() {
return phoneNumber;
}
public String getEmail() {
return email;
}
}
MemberResponseDto
public class MemberResponseDto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phoneNumber;
private String email;
public MemberResponseDto() {}
public MemberResponseDto(Member member) {
id = member.getId();
name = member.getName();
phoneNumber = toStringPhone(member.getPhone1(), member.getPhone2(), member.getPhone3());
email = member.getEmail();
}
private String toStringPhone(String phone1, String phone2, String phone3){
return phone1+"-"+phone2+"-"+phone3;
}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String getPhoneNumber() {
return phoneNumber;
}
public String getEmail() {
return email;
}
}
Member, MemberRequestDto, MemberResponseDto 3개의 클래스를 생성하였습니다.
회원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Member클래스만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Entity 클래스를 파라미터 혹은 View 데이터로 사용하게 되면 변화에 대응하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휴대폰 번호 같은 경우 테이블에 저장되는 형태는 3개의 컬럼으로 저장되는데, 화면에 입력 받는 형태는 하나의 문자열입니다. 이걸 Entity에서 구현하려면 Entity 클래스는 테이블의 역할을 벗어난 많은 책임을 담당하게 되고, 파라미터가 변경될 때마다 메인이 되는 Entity 클래스의 구조가 계속해서 변경되게 됩니다.
반면에 MemberRequestDto가 화면에서 입력 받는 파라미터 타입의 역할을 하게 될 경우 파라미터 형태가 변경되어도 MemberRequestDto만 변경하면 되고 Entity 클래스는 변경되지 않아도 되기에 테이블 구조가 변경될 일은 없습니다.
추가적으로 Entity 클래스에 validation 어노테이션까지 포함되어있으면 코드 자체가 너무 지저분해지는데, 분리하게 될 경우 이역시도 깔끔하게 코드가 작성 될 수 있습니다.
동일한 이유로 View에 출력되는 타입 역시 Entity가 아닌 Response 클래스를 별도로 두어 어떤 출력 형태라도 큰 변경 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럼 이를 사용하는 Controller/Service/Repository를 생성하겠습니다.
MemberRepository
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mber, Long>{
Optional<Member> findByEmail(String email);
}
repository는 간단하게 JpaRepository를 상속 받겠습니다.
MemberService
@Service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ublic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Transactional
public Long save(MemberRequestDto memberRequestDto){
return memberRepository.save(memberRequestDto.toEntity()).getId();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List<MemberResponseDto> findAll() {
return memberRepository
.findAll()
.stream()
.map(MemberResponseDto::new)
.collect(Collectors.toList());
}
}
스프링에 대한 의존성을 낮추고 Mock 객체 주입을 좀 더 쉽게하기 위해 생성자 Injection을 하였습니다.
보시면 save할때는 requestDto를 entity로, find를 할 때는 entity를 responseDto로 전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만약 리턴되는 데이터가 많을 경우에 모든 데이터를 map
으로 전환하기가 부담되신다면, querydsl을 사용하여 조회 결과를 responseDto로 받을 수 도 있습니다.
**MemberController**
@Rest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MemberService memberService;
public MemberController(MemberService memberService) {
this.memberService = memberService;
}
@PostMapping("/member")
public Long saveMember(@RequestBody @Valid MemberRequestDto memberRequestDto) {
return memberService.save(memberRequestDto);
}
@GetMapping("/members")
public List<MemberResponseDto> findAll(){
return memberService.findAll();
}
}
Controller는 별다를 것이 없지만, JSON 데이터를 인스턴스에 매핑하기 위해 @RequestBody
를, validation 실행을 위해 @Valid
를 사용하였습니다.
백엔드구성은 마쳤습니다. 다음은 화면단 코드를 작성하겠습니다.
Ajax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예정이기에 별도의 템플릿 엔진(freemarker, thymleaf 등)을 사용하지 않겠습니다.
단, SpringBoot의 경우 /
url에 매핑된 메소드가 없고, src/main/resources/static/index.html
을 생성하면 /
접속시 자동으로 index.html을 호출하게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index.html을 작성하겠습니다.
index.html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title>Validation 서버에 집중하기</title>
<link rel="stylesheet" href="https://maxcdn.bootstrapcdn.com/bootstrap/3.3.2/css/bootstrap.min.css">
</head>
<body>
<div class="row">
<div class="col-md-6">
<h1> 회원가입 </h1>
<form>
<div class="form-group">
<label for="name">이름</label>
<input type="text" class="form-control" id="name" placeholder="이름을 입력하세요">
</div>
<div class="form-group">
<label for="phoneNumber"> 휴대폰번호 </label>
<input type="text" class="form-control" id="phoneNumber" placeholder="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세요">
</div>
<div class="form-group">
<label for="email">이메일</label>
<input type="text" class="form-control" id="email" placeholder="이메일을 입력하세요">
</div>
<button type="button" class="btn btn-primary" id="btnSave">등록</button>
</form>
</div>
<div class="col-md-6">
<h1> 회원 리스트 </h1>
<table class="table table-horizontal table-bordered">
<thead class="thead-strong">
<tr>
<th>ID</th>
<th>이름</th>
<th>휴대폰번호</th>
<th>Email</th>
</tr>
</thead>
<tbody id="tbody">
</tbody>
</table>
</div>
</div>
<script src="https://ajax.googleapis.com/ajax/libs/jquery/3.1.1/jquery.min.js"></script>
<script src="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handlebars.js/4.0.6/handlebars.min.js"></script>
<script id="table-template" type="text/x-handlebars-template">
{{#each members}}
<tr>
<td>{{id}}</td>
<td>{{name}}</td>
<td>{{phoneNumber}}</td>
<td>{{email}}</td>
</tr>
{{/each}}
</script>
<script type="application/javascript">
var $tbody = $('#tbody');
var findAll = function () {
$.ajax({
url:'/members',
method: 'GET',
success: function (response) {
var source = $("#table-template").html();
var template = Handlebars.compile(source);
var html = template({members:response});
$tbody.html('');
$tbody.html(html);
}
});
};
$('#btnSave').click(function () {
var member = {
name: $('#name').val(),
phoneNumber: $('#phoneNumber').val(),
email: $('#email').val()
};
$.ajax({
url:'/member',
method: 'POST',
data: JSON.stringify(member),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harset=utf-8",
success: function (response) {
findAll();
}
});
});
findAll();
</script>
</body>
</html>
bootstrap, jquery, handlebars를 사용한 간단한 회원가입, 회원리스트 기능의 게시판입니다.
(혹시나 handlebars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은 이전에 제가 작성한 handlebars 글을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프로젝트를 구동시켜 http://localhost:8080/ 에 접속하여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는지 확인하겠습니다.
자 그럼 여기서 개발자 도구를 열고, 일부러 조건에 맞지 않는 값들을 입력하여 등록 버튼을 클릭해보겠습니다.
그럼 위 처럼 400 에러와 함께 여러 에러 결과를 확인이 가능한데, 이를 jsoneditoronline 에서 정리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이 많은 결과값에서 저희가 집중해야할 것은 defaultMessage와 field입니다.
전체 결과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모든 validation 에러들은 errors 배열에 담겨오며 defaultMessage와 field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defaultMessage는 validation 어노테이션에 지정한 메세지를 얘기하며, field는 해당 클래스 인스턴스의 필드명을 얘기합니다.
그렇다면 field 값과 defaultMessage를 활용하면 validation 에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해당 필드에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지 않을까요?
validation을 어노테이션을 통해 간단하고 일관되게 처리후 그 결과는 자동으로 해당 필드에 표현 될 수 있도록 jquery 코드를 추가하겠습니다.
이 기능을 하는 함수명은 markingErrorField
라 하겠습니다.
index.html
var markingErrorField = function (response) {
const errorFields = response.responseJSON.errors;
if(!errorFields){
alert(response.response.message);
return;
}
var $field, error;
for(var i=0, length = errorFields.length; i<length;i++){
error = errorFields[i];
$field = $('#'+error['field']);
if($field && $field.length > 0){
$field.siblings('.error-message').remove();
$field.after('<span class="error-message text-muted taxt-small text-danger">'+error.defaultMessage+'</span>');
}
}
};
코드 자체는 특별한 것이 없습니다.
error 배열에 있는 값들을 하나씩 호출하여 해당 필드명을 ID로 가진 Dom Element를 찾아 defaultMessage를 붙이는 것($field.after('<span class="error-message text-muted taxt-small text-danger">'+error.defaultMessage+'</span>'
)입니다.
그 과정에서 이전에 출력시킨 에러메세지들은 전부 삭제($field.siblings('.error-message').remove()
)하여 중복으로 남기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기존의 save
코드에 error 발생시 markingErrorField
를 실행시키도록 수정하겠습니다.
$('#btnSave').click(function () {
var member = {
name: $('#name').val(),
phoneNumber: $('#phoneNumber').val(),
email: $('#email').val()
};
$.ajax({
url:'/member',
method: 'POST',
data: JSON.stringify(member),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harset=utf-8",
success: function (response) {
findAll();
},
error: function (response) {
markingErrorField(response);
}
});
});
자 그럼 실제로 작동되는 모습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짠! 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alidation 공통 모듈은 여기서 끝일까요?
위에 있는 조건중 만족시키지 못한 것이 무엇일까요? validation 어노테이션으로 대부분의 처리는 가능하나, 중복체크와 같이 다른 서비스 Layer가 필요한 경우는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이 문제를 email 중복체크를 해결하면서 진행해 보겠습니다.
ValidCustomException
validation 어노테이션들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발생할 경우에도 markingErrorField
가 처리할 수 있도록 defaultMessage와 field를 가진 값들을 errors 배열 안에 담은 Exception 클래스를 생성하겠습니다.
ValidCustomException
@ResponseStatus(HttpStatus.BAD_REQUEST)
public class ValidCustomException extends RuntimeException{
private Error[] errors;
public ValidCustomException(String defaultMessage, String field){
this.errors = new Error[]{new Error(defaultMessage, field)};
}
public ValidCustomException(Error[] errors) {
this.errors = errors;
}
public Error[] getErrors() {
return errors;
}
public static class Error {
private String defaultMessage;
private String field;
public Error(String defaultMessage, String field) {
this.defaultMessage = defaultMessage;
this.field = field;
}
public String getDefaultMessage() {
return defaultMessage;
}
public String getField() {
return field;
}
}
}
validation 에러가 발생했을때처럼 동일하게 400 status code를 지정하였습니다. (@ResponseStatus(HttpStatus.BAD_REQUEST)
)
ValidCustomException에서만 사용하는 Error 이너클래스를 생성하여 defaultMessage와 field를 추가하였습니다.
이것만 가지고 바로 사용할수는 없습니다.
Spring에서는 직접 생성한 Exception에 새로운 field(여기선 Error[] errors
)를 포함해서 view에 전달하기 위해선 DefaultErrorAttributes에서 필드를 직접 추가해야만 합니다.
Application
@Bean
public ErrorAttributes errorAttributes() {
return new DefaultErrorAttributes() {
@Override
public Map<String, Object> getErrorAttributes(
RequestAttributes requestAttributes,
boolean includeStackTrace) {
Map<String, Object> errorAttributes = super.getErrorAttributes(requestAttributes, includeStackTrace);
Throwable error = getError(requestAttributes);
if (error instanceof ValidCustomException) {
errorAttributes.put("errors", ((ValidCustomException)error).getErrors());
}
return errorAttributes;
}
};
}
Exception의 타입을 체크하여 ValidCustomException일 경우에는 errors 필드를 추가하는 코드입니다.
자 드디어 ValidCustomException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럼 email 체크하는 코드를 추가하여 테스트를 진행해보겠습니다.
MemberService
@Transactional
public Long save(MemberRequestDto memberRequestDto){
verifyDuplicateEmail(memberRequestDto.getEmail());
return memberRepository.save(memberRequestDto.toEntity()).getId();
}
private void verifyDuplicateEmail(String email){
if(memberRepository.findByEmail(email).isPresent()){
throw new ValidCustomException("이미 사용중인 이메일주소입니다", "email");
}
}
save 하기전, verifyDuplicateEmail
메소드를 통해 email 체크를 진행하고, 동일한 email이 이미 등록되어 있을 경우 email 필드를 가진 ValidCustomException
을 발생시키도록 하였습니다.
기능이 잘 작동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이메일을 2번 입력해보겠습니다.
처음 jojoldu@gmail.com으로 등록 후, 다시 한번 jojoldu@gmail.com 입력 시 이메일 항목 아래에 메세지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 경우 비슷한 많은 체크성 코드들을 전부 제거할 수 있습니다.
어떠셨나요?
막상 시작하기전에는 짧게 끝나겠다고 생각하였는데 하다보니 내용이 너무 길어져 읽으시는데 지겹진 않으셨을까 걱정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래도 저와 같은 초보자 분들에겐 길더라도 상세하게 작성되는 것이 이해에 도움이 되실것 같아 줄이지 않았습니다.
여튼 이 긴글을 끝까지 읽어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