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ring으로 개발을 하다보면 @Bean과 @Component를 언제 써야할지 헷갈릴때가 있다.
둘다 목적이 명확하지 않은 Bean을 생성할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인데 왜 2개로 나누어져있나 궁금했었는데, 박재성님의 강의를 통해 둘의 차이를 알게 되었다.
(@Bean)
(@Component)
위 코드를 보면 알수있는데 @Bean의 경우 개발자가 컨트롤이 불가능한 외부 라이브러리들을 Bean으로 등록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ObjectMapper의 경우 ObjectMapper Class에 @Component를 선언할수는 없으니 ObjectMapper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메소드를 만들고 해당 메소드에 @Bean을 선언하여 Bean으로 등록한다.)
반대로 개발자가 직접 컨트롤이 가능한 Class들의 경우엔 @Component를 사용한다.
그럼 개발자가 생성한 Class에 @Bean은 선언이 가능할까?
정답은 No 이다.
@Bean과 @Component는 각자 선언할 수 있는 타입이 정해져있어 해당 용도외에는 컴파일 에러를 발생시킨다.
(@Target이 METHOD로 지정되어 있지만, TYPE은 없다)
(@Target이 TYPE로 지정되어 Class위에서만 선언될수 있음을 알수 있다.)
반응형
향로 (기억보단 기록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