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엔 아주 간단한 팁이지만, 필요하신 분들이 많이 계실것 같은 SpringBoot에서 JPA 쿼리에 사용된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하려 합니다. 모든 코드는 Github에 있기 때문에 함께 보시면 더 이해하기 쉬우실 것 같습니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Github와 세미나+책 후기를 정리하는 Github, 이 모든 내용을 담고 있는 블로그가 있습니다. )
본문
사실 이렇게 포스팅하기엔 너무 깃털같은 양이라 부끄럽기도 합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프로젝트의 application.yml/properties 에 logging.level.org.hibernate.type
을 추가하신후, 값을 trace
로 하시면 됩니다.
추가 팁
application.yml / properties를 하나로 사용하실텐데요,
메인과 테스트의 설정을 분리해서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 같은 경우 위에서 사용한 logging.level.org.hibernate.type
은 테스트 코드 실행외에 크게 확인할 일이 없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src/main/resourcess
와 src/test/resourcess
에 각각의 application.yml
을 생성하여 각 환경에 맞게 설정값을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주 간단한 팁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향로 (기억보단 기록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