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gradle14

IntelliJ에서 Gradle 프로젝트 작동안될때 간혹 Gradle 프로젝트를 IntelliJ에서 불러올때 Gradle이 정상작동하지 않을때가 있습니다. 전혀 코드가 작동하지 않는데요. 이럴때 2가지 해결방법이 있습니다. 1. Import Gradle Project 먼저 IntelliJ 우측 하단의 Event Log 탭을 클릭해서 아래와 같이 Import Gradle Project가 메세지가 보인다면 바로 해당 메세지를 클릭하면 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Import 프로젝트 화면이 등장합니다.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Import가 모두 끝나면!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Gradle 프로젝트로 변환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Re Import 만약에 1과 같이 Import Gradle Project 메세지가 나오지 않을 경우가 .. 2018. 12. 22.
IntelliJ 의존성 목록 확인 및 자동 완성 IntelliJ로 개발할때맏 불편한 것이 의존성을 추가하는 일입니다. 항상 mvnrepository 로 가서 검색한 결과를 복사해서 build.gradle에 복사해야만 합니다. 이걸 IntelliJ에서 검색기능이나 자동완성 기능을 지원하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비슷한 기능이 있었습니다. 프로젝트의 build.gradle로 이동합니다. 의존성 이름을 앞부분만 작성해서 아래와 같이 자동완성 단축키를 실행해봅니다. 그러면 maven 저장소와 동기화를 하기 위해 인덱싱 작업이 필요하다는 알람이 나옵니다.Update Index 버튼을 클릭해 인덱싱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인덱싱 작업이 시작됩니다.작업이 끝나고 완성되지 않은 의존성 이름에 (여기서는 starter-까지만 되어 있는 상태) .. 2018. 10. 7.
Gradle + SpringBoot + Travis CI + Coveralls + 텔레그램 연동하기 최근에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하면 무조건 진행하는 것이 바로 CI 연동입니다. 지속적으로 통합 빌드/테스트가 된다는게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개인프로젝트에서 CI연동을 하면 다음과 같은 작업이 자동화됩니다. 하나의 기능을 수정 혹은 추가 후 Git Push -> Travis CI에서 통합 빌드 및 테스트 -> Coverall에서 테스트 커버리지 관리 -> 텔레그램으로 CI 결과 알람 물론 여기서 AWS CodeDeploy나 다른 CD 툴을 사용한면 배포까지 자동화 시킬수 있습니다. 관련된 내용은 스프링부트로 웹 서비스 출시하기 - 6. TravisCI & AWS CodeDeploy로 배포 자동화 구축하기를 참고해보세요! 앞서 스프링부트로 웹 서비스 출시하기 시리즈에서 CI/CD 환경을 .. 2018. 3. 10.
Java + Gradle 프로젝트 생성하기 (+junit) 1. IntelliJ 프로젝트 생성Junit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하므로 직접 jar를 받아 추가하기 보다는 빌드도구를 사용해서 의존성을 쉽게 사용하는것이 좋다. Maven, Gradle 중 원하는 빌드 도구로 생성한다. (팀내 빌드도구를 선택하면 되지만, 박재성님의 강의는 Maven으로 진행할 예정)GroupId와 artifactId는 원하는 값을 입력하면 된다. (정식 프로젝트라면 룰에 맞춰서 가야하지만 테스트이니 그냥 한다.)생성이 완료되면 위와 같은 프로젝트 구조가 생성된다. main 코드와 test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source root를 생성해야한다. (없으면 패키지 및 클래스가 생성되지 않는다.) main 코드의 source root를 생성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선택 -> command+n을.. 2017. 4. 9.
Gradle 멀티 프로젝트 관리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아시는 분들은 거의다 아시는(!?) Gradle을 이용한 멀티 프로젝트(모듈) 관리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모든 코드는 Github에 있으니 참고하셔서 보시면 더 좋으실 것 같습니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blog-code와 세미나+책 후기를 정리하는 review, 이걸 모두 정리하는 블로그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서비스는 단일 프로젝트로 구성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아무리 작게 구성해도 일정 수준 이상의 트래픽을 감당하려면 사용자와의 접점을 담당하는 서버(이하 web프로젝트라고 하겠습니다.), DB와의 접점을 담당하는 서버(api프로젝트라 칭하겠습니다.)로 구분하여 구성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 고민이 되는 것이 그럼 web과 api 모두에서 사용되는 클래스들은 어떻게 .. 2017. 2. 19.
객체지향 좀 더 이해하기 - 블랙잭 게임 구현 (6) 코드리뷰 이 프로젝트를 OKKY에 올리고 나서 OKKY의 연예인이신 fender님의 리뷰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나서 OKKY에 항상 바로 올리는 이유가 이런 선배님들의 피드백때문입니다. 바로 리뷰에 대한 수정을 진행하려고 했으나, 이전부터 작업하던 Spring AOP 정리를 마무리하는게 먼저라 시작이 늦었습니다. 다행히 이번주 평일전체를 연차로 쉴수 있게되어 AOP 내용도 정리하고, 이제라도 리뷰 수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fender님의 리뷰에서 나온 수정사항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Card의 패턴과 끗수를 enum으로 자연스러운 네이밍 isReceiveCard, receiveCardAllPlayers 등은 정상적인 문법은 아님 list 대신 stack을 사용 .. 2016. 12.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