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와 객체지향 by 조영호 - 참석 후기 2010년도, 2015년도에 이미 한번 발표한 자료레이어드 아키텍처와 객체지향의 접목 생각보다 올드함 요즘의 트렌드에서 조금 벗어날수 있지만, 기본적인 설계를 배워보는 정도로 볼것 2가지 방법을 실행 하나는 절차지향 하나는 객체지향 둘을 비교 발표는 1시간 정도 1. 영화 예매 도메인 온라인 영화 예매 시스템 도메인 컨셉 Movie (영화) 제목, 상영시간 등등 Showing (상영) 어떤 시간에 상영되는지 실제로 사용자들이 예매하는 대..
객체지향 좀 더 이해하기 - 블랙잭 게임 구현 (6) 코드리뷰 이 프로젝트를 OKKY에 올리고 나서 OKKY의 연예인이신 fender님의 리뷰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나서 OKKY에 항상 바로 올리는 이유가 이런 선배님들의 피드백때문입니다. 바로 리뷰에 대한 수정을 진행하려고 했으나, 이전부터 작업하던 Spring AOP 정리를 마무리하는게 먼저라 시작이 늦었습니다. 다행히 이번주 평일전체를 연차로 쉴수 있게되어 AOP 내용도 정리하고, 이제라도 리뷰 수정을 진..
객체지향 좀 더 이해하기 - 블랙잭 게임 구현 (5) 2-5. Rule 구현하기 Rule은 승자를 판단하는 역할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게임에 참여한 Player들의 카드를 비교해 승자를 구하는 코드를 구현해보겠습니다. public Player getWinner(List<Player> players){ Player highestPlayer = null; int highestPoint = 0; for(Player player : p..
객체지향 좀 더 이해하기 - 블랙잭 게임 구현 (4) 2-4. Player 구현 코드를 보시면 불편해 보이는 코드가 대거 보이실것 같습니다. 2개의 메소드 모두 dealer와 gamer만 다르지 같은 일을 하는 코드가 대부분입니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dealer와 gamer만 하나로 볼 수 있으면 코드 중복을 제거할 수 있지 않을까요?? Gamer와 Dealer는 여러 조건들에 의해 서로 다른 구현 코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카드를 받아야하고, 가진 카드를 보여줘야 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객체지향 좀 더 이해하기 - 블랙잭 게임 구현 (3) 2-3. Dealer 구현 다음 단계로 Dealer를 구현해보겠습니다. Dealer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추가로 카드를 받는다. 단, 2카드의 합계 점수가 16점 이하이면 반드시 1장을 추가로 뽑고, 17점 이상이면 받을 수 없다. 뽑은 카드를 소유한다. 카드를 오픈한다. 이렇게 될 수 있었던 이유는 게임의 승패를 판단하는 것은 Rule 객체가, 카드를 뽑는 것은 카드덱 객체가 맡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위 역할들만 구현해보겠습니..
객체지향 좀 더 이해하기 - 블랙잭 게임 구현 (2) 2-2. Gamer 구현 Gamer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추가로 카드를 받는다. 뽑은 카드를 소유한다. 카드를 오픈한다. receiveCard와 cards를 담을 구현체를 생성자에 추가하였습니다. public class Gamer { private List<Card> cards; public Gamer() { cards = new ArrayList<>(); } ..
객체지향 좀 더 이해하기 - 블랙잭 게임 구현 (1) 순수 Java로 이루어진 프로젝트 객체지향을 이해하는데 있어 게시판은 좋은 예제가 아니라는 자바지기(박재성)님과 OKKY fender님의 이야기로 시작한 프로젝트 Java로 웹을 한다고 하면서 실제로 Java와 객체지향을 공부한적이 없던것 같다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베이스, JSP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Java와 객체에 좀 더 집중할 예정입니다. 모든 코드는 Github에 있으니 전체 코드를 보고싶으시면 참고하시면 될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