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객체지향 (Object Oriented) 디자인 (Design)

향로 (기억보단 기록을) 2021. 8. 13. 09:41
반응형

여기서 이야기하는 디자인은 코드 설계와 동일하게 봐도 무방하다.

디자인이 왜 중요한가?

요즘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는 디자인에 대한 지식이 없더라도, 원하는 바대로 작동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특히나 최근의 언어들은 문법이 너무나 친절하여 자신의 생각을 순차적으로 정리만 할 수 있다면 누구나 원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작은 규모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렇게 디자인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기능 구현에만 신경써도 문제는 없다.
아니, 아예 좋지 못한 디자인이라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객체간의 복잡한 관계, 계층화 되지 않은 구조 등 모듈화가 전혀 없어도 개발자의 머릿속에 모든 것들을 담아두고 개발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얘기하면 특정 누군가만 손댈수 있고, 그 사람의 머릿속에만 모든 애플리케이션 구조가 담겨져 있다면 안좋은 디자인의 신호이다.

 

하지만,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가 성공을 하고 나면 무조건 새로운 기능을 요구받게 된다.

새로운 기능을 요구받고, 점점 규모가 커지면 그때부터 잘못된 디자인의 애플리케이션은 변화의 장애물이 된다.
하나의 객체를 수정하면 그 객체와 협업하는 다른 객체를 수정하고, 수정된 다른 객체와 협업하는 또다른 객체를 수정한다.
끝도 없이 계속해서 협업 객체들을 수정하는 일이 시작된다.
결국 그 피해는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전파되고, 종국엔 모든 코드를 수정하게 된다.

즉, 안좋은 디자인의 작은 애플리케이션이 갖는 문제는 이 애플리케이션이 발전해서 안좋은 디자인의 큰 애플리케이션이 되는데 있다.

객체지향 디자인

자바를 비롯한 OOP 언어들은 데이터 (Data) 와 행위 (Method)를 객체안에 통합시켜놓는다.
그리고 이들 각 객체들의 상호 작용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이루어져있는데, 이 상호작용은 서로 주고 받는 메세지 속에 있다.
즉, 객체는 메세지를 통해 상대 객체의 행동 (Method) 을 실행시킨다.

서로간의 행동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협력 객체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도가 필요한데,
이 이해도가 어느정도 되느냐에 따라 좋은 객체지향 디자인이 될 수도 있고, 좋지 못한 객체지향 디자인이 될 수 있다.

아래 예제로 한번 살펴보자.

아래 예제는 조영호님의 오브젝트 예제 코드를 발췌해, TypeScript로 전환했다.

export class Theater {
    private ticketSeller: TicketSeller;

    constructor(ticketSeller: TicketSeller) {
        this.ticketSeller = ticketSeller;
    }

    public enter(audience: Audience): void {
        if (audience.bag.hasInvitation()) {
            const ticket = this.ticketSeller.ticketOffice.ticket;
            audience.bag.setTicket(ticket);
        } else {
            const ticket = this.ticketSeller.ticketOffice.ticket;
            audience.bag.minusAmount(ticket.fee);
            this.ticketSeller.ticketOffice.plusAmount(ticket.fee);
            audience.bag.setTicket(ticket);
        }
    }
}

위 코드를 한글로 풀어보자.

  • 극장(Theater)는 관람객(audience)의 가방(bag)을 열어 그 안에 초대장이 들어있는지 살펴본다 (hasInvitation())
  • 가방(bag) 안에 초대장이 있으면,
    • 판매원(ticketSeller)은 매표소(ticketOffice)에 보관돼있는 티켓(ticket)을 관람객의 가방안으로 옮긴다 (audience.bag.setTicket(ticket))
  • 가방(bag) 안에 초대장이 없다면,
    • 관람객(audience)의 가방(bag)에서 티켓 금액만큼의 현금을 꺼내 (audience.bag.minusAmount(ticket.fee)) 매표소에 적립한다 (this.ticketSeller.ticketOffice.plusAmount(ticket.fee))
    • 그리고 매표소에 보관돼 있는 티켓을 관람객의 가방 안으로 옮긴다 (audience.bag.setTicket(ticket))

기능상 문제가 없는 이 애플리케이션의 문제는 무엇일까?

그것은 관람객(audience)과 판매원(ticketSeller)에 변화가 있을 경우, 극장(Theater)도 함께 변경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의 변화들이 필요하다고 가정해보자.

  • 관람객(audience)이 가방(bag) 안에 들어있는 현금이 아닌, 모바일 페이로 결제를 한다고 가정해보자.
    • 그럼 Audience 클래스에서 Bag을 제거해야하고,
    • AudienceBag직접 접근하는 Theater 클래스의 enter 메소드 역시 수정해야 한다.

이렇게 Audience의 변화에 Theater까지 영향을 받는 것은 지나치게 Audience 내부에 대해 많이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각 객체의 서로에 대한 이해도를 우리는 의존성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해 코드를 어떻게 배치하느냐가 디자인 혹은 설계이다.

현재의 애플리케이션은 Theater가 지나치게 AudienceTicketSeller 에 의존하고 있다.
(즉, 너무 세세한 구현부까지 Theater가 이해하고 있어야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객체의 세부적인 부분을 적절하게 숨길 필요가 있다.

  • Theater 는 관람객이 극장에 입장하는 것만 관리하고
  • Audience 는 가방안의 현금과 초대장을 처리하고
  • TicketSeller 는 매표소의 티켓과 판매 요금을 처리한다.

위 역할에 맞게 객체를 분리해보자.

export class Theater {
    private ticketSeller: TicketSeller;

    constructor(ticketSeller: TicketSeller) {
        this.ticketSeller = ticketSeller;
    }

    public enter(audience: Audience): void {
        this.ticketSeller.sellTo(audience);
    }
}
  • 기존의 TicketOffice 에 접근하던 Theater 의 코드는 이제 TicketSeller 안으로 숨겨졌다.
  • Theater 는 오직 TicketSellersellTo에만 의존한다.
  • TicketSeller 를 위해 TicketOffice 가 필요한지 / 다른것이 필요한지는 이제는 더이상 Theater 의 관심대상이 아니다.
export class Audience {
    private readonly bag: Bag;

    constructor(bag: Bag) {
        this.bag = bag;
    }

    public buy(ticket: Ticket): number {
        return this.bag.hold(ticket);
    }
}
  • Audience 는 이제 본인의 가방안에 초대장이 있는지 스스로 확인한다.
  • 기존의 TheaterAudienceBag 을 제어하고 명령하는 것이 완전히 제거되었다.
export class Bag {
    private amount: number;
    private invitation: Invitation;
    private ticket: Ticket;

    constructor() {
    }

    public hold(ticket: Ticket): number {
        if (this.hasInvitation()) {
            this.setTicket(ticket);
            return 0;
        } else {
            this.setTicket(ticket);
            this.minusAmount(ticket.fee);
            return ticket.fee;
        }
    }

    setTicket(value: Ticket): void {
        this.ticket = value;
    }

    public hasInvitation(): boolean {
        return this.invitation != null;
    }

    public minusAmount(amount: number): void {
        this.amount -= amount;
    }
}
  • Bag 역시 초대장 여부를 외부가 알 필요 없이 본인 스스로 판단해서 처리 (hold()) 한다
export class TicketSeller {
    private _ticketOffice: TicketOffice;

    constructor(ticketOffice: TicketOffice) {
        this._ticketOffice = ticketOffice;
    }

    public sellTo(audience: Audience): void {
        this.ticketOffice.sellTicketTo(audience);
    }

    get ticketOffice(): TicketOffice {
        return this._ticketOffice;
    }
}
  • TicketSeller 역시 더이상 다른 객체에 의존 없이, TicketOffice 에만 의존하게 되며, Audience 에게 티켓을 판매하기 위한 내부 로직에 대해서는 더이상 관심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전체 코드는 Github 을 참고한다.

코드를 수정하면서 얻은 장점은 2가지이다.

  • Theater, TicketSeller, Audience, Bag 등이 각자의 역할이 명확해져, 이후 추가 기능에 대해 어느 객체가 책임이 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다.
  • 이제 더이상 Audience, Bag, TicketSeller 의 변화에 Theater 가 대응할 필요가 없다.
    • 각 객체가 서로 최소한의 간섭만 하게 되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기존 코드에 최신 문법을 적용했다거나, 코드 다이어트를 한 것이 없다는 것이다.
동일한 코드이지만, 그 코드를 어디에 배치하느냐에 따라 좋은 변화를 이끌어 낸 것이다.

물론 이 코드가 최선은 아니며, 더 좋은 개선과 트레이드 오프에 대한 이야기, 좀 더 풍부한 OOP에 대한 이야기는 조영호님의 오브젝트 에서 언급되고 있으니 꼭 참고해본다.

 

기존의 OOP 언어의 클래스를 값 객체 (Value Object)로서만 사용해왔다면,
위 예제를 통해 더이상 클래스는 단순한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함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객체의 타입을 안다는 것은 그 객체가 어떻게 행동할지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 객체가 어떤 메세지에 반응하는지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객체지향 디자인을 한다고하면, 이 객체가 어떤 행동을 할지 예상할 수 있도록 코드를 배치해야만 한다.

좋은 디자인?

위에서 객체지향 디자인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지만, 객체지향을 떠나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이라 하면 결국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어떻게 코드를 배치할까를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어려운 점은 미래가 대비된 코드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예언자가 아닌 이상 어떤 기능을 추가로 요구 받을지 예측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할 것은 애플리케이션이 어떤일이 벌어질지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애플리케이션이든 변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지금은 그 변경이 무엇인지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뿐이다.

그래서 미래를 추측하는 디자인을 하지 않는다.
미래를 대비해서 가능한 여러 선택지를 남겨둘 뿐이다.

정리하면, 좋은 디자인이란 변화를 손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코드를 배치하는 일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