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

일일커밋 3주년 회고

향로 (기억보단 기록을) 2019. 12. 15. 22:54
반응형

왜 일일커밋을 시작하게 된건지에 대해서는 기존에 작성한 글이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것 같다.

일일커밋 시작은 2016년 8월부터 시작했으나, 중간 중간 쉬거나 끊긴적이 있었다.
한번도 끊김 없이 이어진건 2016년 11월부터라, 2016년 11월부터 현재까지의 기록을 남겨본다.

기록

그간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내 경력의 시작은 2014년 2월부터다
즉, 경력이 시작되고 2년 6개월부터 일일커밋을 시작했다고 보면 된다.

2016.11.13 ~ 2016.12.31

2016

2017.01.01 ~ 2017.12.31

2017

2018.01.01 ~ 2018.12.31

2018

2019.01.01 ~ ing

2019

원래 3주년 회고는 2019년 11월 13일에 써야 딱인데, 태용님 인터뷰출판이 겹쳐서 12월이 되어서야 쓰게 되었다.

어떻게

위에서도 얘기했지만 3년차에서 일일커밋을 시작했다보니 초기에는 별 문제가 없었다.
헌데, 한 1년이 지나다보니 커밋을 위한 공부를 하는 일이 잦아졌다.

권남

(출처 - 권남님 블로그)

하루에 한번의 커밋이라도 할려면 짧은 호흡의 코딩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회사일이 바쁘기라도 하면 커밋할 시간이 30분도 안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되니 자꾸 무의미한 커밋이 발생하고,
무의미한 커밋들이 쌓이니 일일커밋에 대해 회의감이 생기게 되었다.

그래서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하던 중에 코드의 경중을 나누기로 결정했다.
경중이라 하면 이런 것이다.

  • 30분 이내로 코드 작업이 가능한 개인 과제
    • 단거리
  • 30분 이상 고민이 필요한 개인 과제
    • 장거리

로 나누는 것이다.

예를 들어

  • 사이드 프로젝트에 누락된 테스트 코드를 추가하거나
  • 블로그 오타를 반영하거나
  • 라이브러리 버전을 올리는

등의 일이다.

이미 API가 구현된 상태에서 대시보드 항목만 추가하는 등도 단거리에 해당된다.

이런 작업 목록들은 트렐로 에 정리해서 매일 아침 작업 전에 확인후 진행 한다.

trello

만약 주말 오전과 같이 시간이 많이 남는 경우엔 단거리 작업은 하지 않는다.
장거리 작업만 진행한다.
단거리는 평일 오전에도 충분히 처리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장거리 작업 중에도 단거리로 뺄만한 일들이 생기면 바로바로 단거리로 추가 등록해서 진행한다.

일일커밋을 하면서 계속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 단거리로 인해서 꾸준히 지표는 유지하고
  • 장거리로 부족한 점을 계속해서 채우고 있기 때문이다.

두 작업이 어느정도 밸런스를 유지하고 있어서 계속 해올 수 있었다고 본다.
내년에도 잘 유지해볼 생각이다.

인프라에 관한 공부시에는?

코드 작업이 없는 날이 있을수도 있다.
예를 들어 AWS 서비스를 공부해서 블로그에 정리하는 경우이다.

Nginx, MariaDB, Redis, Jenkins, Pinpoint 등 모든 인프라 공부가 다 해당될것 같다.

AWS나 혹은 완전히 처음 접하는 인프라 기술에 관한 내용들을 공부한다는 것은

  • 코드 작업이 일체 없고
  • 어찌 어찌 실습이 성공했지만, 블로그에 정리하기에는 제대로 정리가 안되는 경우가 많다.

위와 같은 단점들이 있다.
그렇다고 이런 단점들이 있다고 공부를 안할수는 없다.
결국 좋은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이런 인프라에 관한 지식들은 피할 수 있는게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 커밋도 할 수 있고
  • 블로그에 소개할 수 있을만큼 깔끔한 방식으로 정리도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한가지 묘수를 생각하게 되었다.
그건 바로,
같은 내용의 실습을 두번 진행하는 것이다.
규칙은 간단하다.

  • 처음 실습은 일단은 아무렇게나 해본다.
    • 아무렇게나의 기준은 최대한 모아놓은 베스트 프렉티스 자료들을 취합해서 진행한다는 의미이다.
    • 당연히 제대로 안될수도 있고, 설정 하나 삐끗해서 이상하게 될 수도 있다.
    • 이때 최대한 많은 삽질을 한다
  • 이 과정에서 모든 내용을 캡쳐한다.
    • yum install 부터 시작해서 하나의 설정을 추가하는 것까지 뭐라도 하면 무조건 캡쳐한다.
    • 그리고 이 캡쳐한 내용을 커밋한다.
  • 1차 실습 과정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새로운 환경을 다시 만든다
    • 즉, 깡통 서버를 새로 만들거나 AWS 서비스를 다시 만드는 등
  • 새 환경에서 다시 차례로 진행한다.
    • 이때는 블로그에 쓸 것을 염두해 1차 실습때 캡쳐했던 것을 참고해 베스트 프렉티스를 만들어 본다.
    • 이때도 중간 중간 소제목들이 끝날때마다 커밋을 한다.

이렇게 하게 되니 블로그에는 최대한 정리된 자료만 올라가게 되고, 일일커밋도 분야 관계없이 꾸준히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만약 나처럼 처음 써보는 인프라를 익혀야할때, 처음 써보는 라이브러리 (Spring Batch, Spring Security 등) 의 코드를 까서 분석해야하는 경우에 두번 실습은 꽤 유용하다.

한번 해보시길 추천한다.

위기

일일커밋을 하면서 몇번 끊길뻔한적이 있었다.
제일 대표적인 사례가 병원 입원인 경우이다.

2017년 11월에 건강검진을 받고 갑상선암 판정을 받았다.
그리고 2018년 3월에 한달간 회사를 쉬었다.

쉬는 동안에 대한 이야기는 마음껏 틀릴 수 있는 시간에 기록해두었다.

이떄가 막 일일커밋 1년을 넘었던때라, 또 일일커밋이 초기화되는게 너무 싫었다.
병원엔 대략 일주일 정도 쉬었어야 했는데, 그동안 커밋을 전혀 못하는게 너무 싫었다.
"어떻게 이어온 일일커밋인데 여기서 끊길순 없지!!" 란 생각이 가득했다.

수술후에 며칠간은 노트북을 열지 못할것 같아 어떻게 할까 고민했다.

  • 집 데스크탑에서 날짜별로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 집 데스크탑이 윈도우라 Docker를 사용했다.
  • 날짜별 디렉토리에 단거리 작업들이 남은 프로젝트를 git clone 받아놓는다.
  • 디렉토리별로 단거리 작업들을 모두 반영하고 커밋은 하지 않는다
  • crontab에 스크립트를 등록해 날짜별로 해당 디렉토리에서 commit & push 가 발생하도록 한다.

커밋이 된건지 아닌지는 Github Bot으로 알람을 받으면서 모니터링을 했다.

알람

이걸 통해서 결과적으로는 입원중에도 계속해서 일일커밋을 이어갈 수 있었다.
다만 이걸 하면서 느낀건

  • 웬만하면 입원 안하는게 최고다
  • 그럼에도 아프면 병원에서 커밋하는게 낫겠다.

스크립트 작동이 정상적으로 안되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 더 커서 추천하는 방법은 아니다.

요즘 고민은?

요즘은 하나라도 커밋을 하면 만족해버리는 것 같아서 고민이다.
헬스로 치면, 중량을 더 늘리지 않고 그 무게 그대로 횟수를 채우는 일이 계속 된다고 해야하나?

하루에 해야할 공부의 마지노선 허들이 낮다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된다.
그래서 이 부분을 어떻게 지표로 측정할 수 있을까 고민하고 있다.
지표로 측정하지 못하면 재미가 없고, 꾸준히 하기 힘드니 어떻게 할까 방법을 찾아보는 중이다.

그전까진 어쩔수 없이 의도적으로 허들을 높이는 수 밖에 없을것 같다.

마무리

한창 취업 실패가 이어지던 시절 읽은 소설 중에 "프리즌 호텔" 이 있다.
프리즌호텔

프리즌 호텔 1권의 후기를 보면 주인공 "기도 고노스케" 에 대한 작가의 이야기가 있다.

주인공으로 나오는 기도 고노스케는 사실은 작가인 아사다 지로가 20년간 사용했지만 한번도 채택되지 않은 소설을 쓴 필명이였던 것이다.

즉, 그는 20년 동안 소설을 써오며 한번도 출판사에 채택되지 않았음에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써왔던 것이다.

뒤이어 적힌 "인생을 살아가는데 운이나 노력도 중요하지만, 집념이 꽤 중요하다는 것도 사실인것 같다" 라는 말은 당시에 나에게 큰 울림을 줬다.

고작 3년한것 가지고 뭐 할 얘기가 많을까 싶다.
정말로 정말로 나도 20년간 이 과정을 유지하게 된다면 인터뷰때 저말을 한번 해봐야지 라는 다짐을 해본다.


반응형